국제 정치·사회

스마트폰에 SNS까지 살펴…美 비자심사 깐깐해진다

테러 예방 명분으로 대폭 강화

韓 등 비자면제국에도 동일 적용

미국 뉴욕 존F케네디 공항의 모습/뉴욕=AFP연합뉴스미국 뉴욕 존F케네디 공항의 모습/뉴욕=AFP연합뉴스




앞으로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심사가 한층 까다로워진다. 비자 신청자의 스마트폰 내역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 계정 비밀번호 등도 심사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미 국토안보부가 테러 예방 명분으로 미국 비자를 신청하는 외국인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토안보부 관계자는 “미국 입국 의도와 관련해 의문이 있을 경우 합법적인 이유로 들어온다는 점을 비자 신청자들이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규제당국이 계획하고 있는 강화된 비자 심사에는 스마트폰 제출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모든 비자 신청자에게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다른 개인정보를 살펴보겠다는 취지다. 또 비자 신청자가 주로 사용하는 SNS 계정에 올린 글도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존 켈리 국토안보부 장관은 지난 2월 의회에서 “어떤 사이트를 방문했는지 물어보고 패스워드를 받아 인터넷에서 한 일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우리에게 충분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면 미국에 올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비자 신청자의 금융기록 제출과 대면 인터뷰 등에 이데올로기 관련 질문이 포함되는 점도 바뀐 부분으로 알려졌다.

WSJ는 이 같은 방안이 프랑스·독일 등 미국의 동맹은 물론 비자면제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등 38개 국가에서도 동일하게 시행된다고 덧붙였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