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등 더위에 강한 소 유전자 찾아냈다

환경적응성 높은 유전정보 육종 소재 활용 기반 마련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소들이 37℃ 이상 고온에도 잘 견디는 이유는 특정 유전자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한국을 중심으로 미국·영국·호주 등 9개 나라 17개 연구팀으로 구성된 ‘아프리카 소 게놈 컨소시엄(African Cattle Genome Consortium)’에서 세계 최초로 이런 연구결과를 찾아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빠른 속도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는 한반도의 가축병 발생 및 생산성 향상과 직접 연결되는 중요한 정보로서 환경 적응성이 높은 한우 집단을 육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전망이다.


연구진은 다양한 기후에서 적응해 살아가는 아프리카 토착 소에 집중하고 토착 소 품종 48마리 3,700만개 유전적 변이를 분석했다. 이 중 높은 온도에서 잘 적응한 아프리카 토착 소와 ‘한우, 홀스타인, 저지, 앵거스’ 같은 상용 품종의 게놈 정보를 비교한 결과 고온에도 잘 견딜 수 있는 원인 유전자 4개를 찾아냈다. 더위에 잘 견디는(내서성) 아프리카 품종은 한우와 유럽계 품종보다 열충격단백질 관련 유전자들이 오래전부터 유전적 구조를 유지하며 현재까지 보존된 점을 확인했다. 특히 열 조절 유전자와 관련된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제(SOD1) 유전자에 존재하는 단일염기서열변이(SNP)는 아프리카 토착 소에서는 95% 이상 보존됐지만 한우를 비롯한 상용 품종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대표 가축인 한우의 사육 적정온도는 10∼20℃로 비육우의 경우 26℃ 이상이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30℃ 이상이면 발육이 멈추며 심한 경우 폐사로 이어진다.

또 연구진은 진드기 저항성·우유 생산 등 생산성 관련 유전자와 인수공통전염병인 수면병의 저항성 유전자도 확인했다.

수면병은 한 번 걸리면 잠이 든 채 숨을 거두는 병으로 ‘트리파노소마병(Trypanosomiasis)’이라고도 불리며, 연간 50만 명이 감염돼 5만여 명이 숨질 정도로 치명적이다.

농진청 동물유전체과 임다정 농업연구사는 “기후 온난화에 따라 질병과 환경 적응성이 높은 집단을 육성하는데 이번 유전정보를 육종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