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시진핑 '세기의 만남'…북핵 해결책 합의 될까

6~7일 첫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 논의할 것

미국은 행정부,의회,언론 등 중국에 전방위 압박

그러나 중국은 선긋기

시진핑 vs 트럼프 /서울경제 DB시진핑 vs 트럼프 /서울경제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첫 정상회담 최대 이슈는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다. 북핵이 잠재적 위협을 넘어 실전 배치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국제 안보 질서를 좌우하는 미·중 양국이 합의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 없이는 북한발(發) 안보 불안이 궁극적으로 해소될 수 없다는 인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중국이 북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은 바 있다. 같은 날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도 “중국은 북한을 말로만 규탄할 게 아니라 결정적인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고 보조를 맞췄다.

미국은 행정부와 의회는 물론 싱크탱크까지 합세해 ‘중국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고 있다. 미 하원은 지난 3일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 법안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규탄 결의안을 잇달아 통과시켰고, 다음날 상원에서는 26명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연명 서한을 보내 북한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생산적인 역할 수행을 촉구했다. 26명은 전체 상원의원의 4분의 1이 넘는 숫자다.


그러나 북핵 문제에 대한 미국의 전방위적 압박이 시 주석의 가시적인 태도 변화를 가져올지는 불투명하다. 정쩌광 외교부 부부장은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에서 북핵 해법은 비핵화 프로세스와 대화를 병행하는 ‘쌍궤병행’(雙軌竝行)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북한의 5일 미사일 발사에 대해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은 미·중 정상회담과 “필연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선을 긋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첫 대좌가 겉돌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어 보인다. ‘아메리카 퍼스트’를 내세우는 트럼프 정부에게 대중 무역 적자 문제는 북핵 못지않은 핵심이슈일 수밖에 없고, 중국 역시 북한과 무역, 남중국해 등 미국 관련 현안 중 선뜻 북한을 내려놓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에서다.

그러나 미·중 양측이 실질적인 안보 위협으로 다가온 북핵 문제의 엄중함에는 인식을 함께하는 만큼 미·중 정상회담에서 적어도 북핵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