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단독]"소난골 해법찾자" 윤병세 외교, 앙골라 외무장관 만난다

이달 중순 치코티 장관 방한

협조요청 등 모든 방법 총동원

금융위 소난골 관련 자료 제공

"채무조정 실패땐 P플랜 도입"

국민연금 구조조정방안 수용 결론 못내

윤병세 장관윤병세 장관




임종룡 위원장임종룡 위원장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앙골라 외교장관을 직접 만나 꽉 막혀 있는 소난골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는다. 소난골은 앙골라 국영 석유회사로 대우조선해양(042660)에 약 1조원 규모의 드릴십을 주문한 뒤 이를 인수하지 않아 자금난을 겪는 대우조선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6일 “이달 중순께 조지 치코티 앙골라 외교장관이 방한할 예정”이라며 “윤 장관이 그와 만난 자리에서 소난골 관련 내용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치코티 장관의 방한일정은 외교부가 짜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외교부에 소난골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 당초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앙골라 외교장관과 만나 소난골 문제를 얘기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윤 장관이 하는 쪽으로 정리됐다. 소난골의 경우 현재 메이저 석유회사와 벌이고 있는 차터(용선)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소난골과 석유회사 간 차터 협상이 서로 뜬구름을 잡는 수준”이라며 “외교장관을 만난다고 바로 풀리지는 않겠지만 모든 방법을 다 써보는 것”이라고 전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핀테크 데모데이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서도 “대우조선 채무 재조정이 실패하면 P플랜(Pre-Packaged Plan) 도입이 불가피하다”면서 “(P플랜 도입을 위한) 준비가 사실상 마무리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주 월요일(10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대우조선 최고경영자가 32개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정상화 계획에 대한 설명회를 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한편 국민연금공단은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 방안 수용 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 국민연금은 투자위원회를 다시 열어 다음주 말까지 최종 입장을 도출할 방침이다.

정상화를 위해 생산직을 포함한 대우조선해양 전 직원이 급여 10%(임원은 30~40%)를 반납하기로 했다. 올해 흑자 전환에 실패할 경우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뿐 아니라 임원들도 함께 물러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대우조선은 이날 노사가 △정상화 시까지 임금 10% 반납 △진행 중인 교섭 잠정 중단 △수주활동 적극 지원 △쟁의행위 자제 등의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4조2,000억원의 혈세가 투입된 지 1년5개월 만에 또다시 5조8,000억원(출자 전환+신규 자금 지원)의 추가 지원이 이뤄진 데 대해 고통 분담에 나서라는 국민적 요구를 조건 없이 받아들이는 차원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대우조선 사원부터 부장(생산직 포함)까지는 급여의 10%, 수석 부장은 15%, 임원은 30~40%를 반납하게 된다. 정 사장은 이미 급여 전액을 반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노조는 급여 반납 외에 회사 차원의 수주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현재 진행 중인 임단협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김영필·한재영기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