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高망간강 생산효율 10% 끌어올린 기술 개발

포스코가 고체가 아닌 액체 상태 망간합금철을 이용해 고(高)망간강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포스코의 이런 기술은 고급 소재로 쓰이는 고망간강 생산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끌어 올려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12일 용융 망간합금철을 이용한 고망간강 생산 프로세스의 상업 생산 테스트를 마치고 관련 기술과 설비를 기술연구원에서 광양제철소로 이관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포스코가 2013년부터 4년여 간 총 550억원을 투입해 얻은 결과물로, 고체가 아닌 용융 상태 망간합금철을 이용해 고망간강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그간 포스코는 고체 상태의 망간합금철을 쇳물에 녹이는 방식으로 고망간강을 만들어 왔다. 하지만 고체 상태 망간합금철을 쇳물에 넣으면 쇳물 자체의 온도가 낮아져 또다시 재가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관련기사



포스코는 일종의 ‘보온병’ 개념의 특수 보온 설비인 ‘PosLM’을 독자 개발해 고순도 망간합금철을 액체 상태로도 보관할 수 있게 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고망간강 생산에 필요한 제강공정 소요시간을 절반으로 단축 시켰다”면서 “고망간강용 슬라브(직사각형 모양의 철강재 반제품) 생산 효율이 10% 이상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망간강은 액화천연가스(LNG) 저장 탱크와 에너지 수송용 강재 등으로 쓰인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석유 회사인 엑손모빌의 오일샌드 슬러리 파이프용 소재로 고망간강이 채택되기도 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