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北 학생들 "남조선에 깡통 찬 거지 많다"

北 '12년제 교육체제'로 개편

"김씨 일가에 충성" 교육 여전

수학·기초과학 비중도 높아

평양 어린이들 /연합뉴스평양 어린이들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11일 개최한 최고인민회의에서 교육 시스템을 전면 재편하기로 했다. 그러나 학제 기간 위주의 개편일 뿐 교육 내용은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평양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3기 5차 회의의 안건 5개 중 하나는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을 실시함에 대한 법령집행총화’였다. 교육위원회 위원장 겸 보통교육상 김승두 대의원은 이 자리에서 올해부터 12년제 의무교육을 전면적으로 실시한다고 보고했다.

2012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2기 6차 회의를 통해 교육 체계를 재편하는 법령을 채택했다. 그전까지 적용됐던 북한의 교육 체계는 학령전(유치원) 1년, 소학교(초등과정) 4년, 중학교(중등과정) 6년인 11년제였다. 법령 채택 이후 소학교 과정을 1년 늘리고 중학교 6년 과정은 초급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 3년으로 나눠 12년제로 전환했다. 이는 시범 운용을 끝내고 올해 4월 1일부터 전면 실시되고 있다.


북한의 의무교육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백두혈통’(김씨 일가)과 노동당에 충성하도록 만드는 수단이다. 5년간의 초등 교육은 국어(매주 7시간)를 중심으로 수학, 자연 등과 더불어 김일성·김정일·김정은의 어린 시절도 가르친다. 1학년 교육 과정에 김일성 아내이자 김정은 할머니인 ‘여성 영웅 김정숙 어머님 어린시절’ 수업이 편성된 점도 눈에 띈다.

관련기사



초급·고급중학교 들어서는 이과 과목의 비중이 확대된다. 초급중학교에서 가장 많이 가르치는 과목은 수학으로 일주일에 6시간 수업을 받는다. 이어 자연과학·국어(각각 5시간), 영어(4시간) 순이다. 고급중학교에서도 기초과학 비중이 높다. 이과 과목은 우리와 비슷하게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으로 세분화한다.

초급·고급중학교 과정에 영어 비중이 큰 점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소학교 4·5학년생은 일주일에 2시간, 초급중학생은 3년간 매년 일주일에 4시간, 고급중학생은 3년간 매년 일주일에 3시간 영어 수업을 듣는다. 교과서에는 황당한 내용도 담겨 있다. 영어 문제 중 ‘(남)조선에는 빈 깡통을 차고 다니는 거지들이 많다’는 문장을 영어로 번역하라는 것도 있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