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조선기자재업체, “대우조선 살아야 우리도 살아”

사채권자에 채무조정 동의 촉구

조선기자재업체 대표단이 1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오는 17~18일 대우조선해양 사채권자 집회를 앞두고 채권자들의 채무조정안 동의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조선기자재업체 대표단이 1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오는 17~18일 대우조선해양 사채권자 집회를 앞두고 채권자들의 채무조정안 동의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에 1,300여 협력업체 목숨이 달려 있습니다.”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등 1,300여개 대우조선 관련 협력업체 대표들은 1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우조선해양 채권자들이 대우조선 회생을 위해 채무조정안을 수용해달라고 호소했다. 대우조선은 오는 17~18일 사채권자를 대상으로 집회를 열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채무 재조정 방안의 동의를 구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이 이를 거부하면 대우조선은 사실상 법정관리(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단계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


조선기자재업체들은 세계 조선경기 침체와 지난해 STX조선해양 법정관리 등 대형 조선사들의 잇단 부실로 파산에 이른 협력사만 100여 곳이 넘고 일감도 절반(45%)으로 준 가운데 대우조선마저 회생에 차질을 빚으면 생태계가 무너질 수 밖에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P플랜에 돌입하면 납품 대금과 인건비를 받지 못해 연쇄 부도가 예상된다”며 “5만여 명에 이르는 협력사 임직원과 가족을 위해서라도 사채권자들이 채무 재조정에 찬성해달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이번 사채권자에 포함된 국민연금은 대우조선 발행 회사채 전체 잔액의 30%를 보유해 집회 성공 여부의 열쇠를 쥐고 있다. 이날 호소는 국민연금을 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기자재업체 호소문에는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회원 222개사,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회원 323개사, 대우조선해양 글로벌탑 협의회 회원 127개사, 대우조선해양 사내협력사 협의회 회원 137개사가 동참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