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대선주자 TV토론]"美, 북한 선제타격 말릴 것"...5인 후보 한 목소리

■외교안보 분야

대선후보들은 13일 첫 TV토론회에서 외교·안보 문제를 놓고 냉탕과 온탕을 오갔다. 미국의 북한 선제타격 가능성에 대해선 일제히 우려를 표명하는 반면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에 대해선 온도차를 보이며 격론을 벌였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이날 토론에서 “미국 대통령에 전화해서 우리의 동의 없는 미국의 일방적 공격이 안된다며 선제공격을 보류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북한에도 여러 채널을 가동해 미국의 선제타격에 빌미가 되는 도발의 중단을 요청하고 중국과도 공조하겠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역시 “최우선으로 미국, 중국 정상과 통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쟁은 절대 안 된다고 얘기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도 북한에 압력을 가하라고 얘기하겠다”고 밝혔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도 ““미국 측과 협의해서 선제타격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중국 측도 마찬가지”라고 못 박았다. 유승민 바른정당·심상정 정의당 후보도 같은 맥락의 입장을 표명했다.


사드 문제를 놓고선 후보간 말꼬리 잡기식 공방전이 펼쳐졌다. 최근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할 경우 사드 배치를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문 후보가 우선적으로 설전의 표적이 됐다. 유 후보는 “문 후보는 처음에 사드 배치를 반대했었다”며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하면 찬성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문 후보는 “(사드 배치) 찬성이냐 반대냐, 또는 배치냐 철회냐 등 양쪽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다음 정부로 미루자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안 후보도 사드 배치 찬성으로 최근 입장을 전환한 문제로 공격을 당했다. 이에 대해 안 후보는 “사드배치에 대해 처음에 반대했던 이유는 중국과의 의사소통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외교적 절차 없이 큰 국익의 손실을 초래해서다”고 반박했다. 이어 “(하지만 현재는) 미국 등의 상황이 바뀌었다”며 “상황이 바뀌면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최적의 대응을 해야 하는 게 국가지도자의 자격 아니냐”고 덧붙였다.

햇볕정책 계승 여부도 도마 위에 올랐다. 유 후보는 안 후보를 겨냥해 “몇 년 전부터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계승한다고 하다가 최근에 말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 후보는 “대화를 병행해 결국은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든다는 궁극적 목적에 동의한다”면서도 “모든 정책은 공과가 있다. 그래서 잘된 점들은 계승하고 과에 대해서는 고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느냐”고 답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