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급한 불 끈 산은, 대우조선 정상화 본격 가동

CP투자자 설득 마무리

내주 채무조정안 통과

5월초 집회 효력 발생

1515A04 예상 일정 진행


산업은행이 주요 사채권자인 국민연금과 합의에 다다르면서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작업은 9부 능선을 넘게 됐다. 남은 숙제는 기업어음(CP) 투자자의 동의서를 받는 절차다. 여기까지 마치게 되면 대우조선 정상화 계획이 본격 가동된다.

14일 산업은행 등에 따르면 오는 17일과 18일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재조정안이 통과되면 법원의 승인을 거쳐 5월 초께 집회 결과의 효력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산은과 수은·대우조선 측은 이 시기에 맞춰 남은 절차인 CP 투자자 설득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현재 시중의 대우조선 CP 투자 규모는 약 2,000억원으로 대부분 기관이 100억원 단위로 보유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CP 투자기관의 일부가 회사채 투자기관과 중첩되는 경우가 많아 이미 사안에 대한 인식이 충분한 점 △개인투자자 비율이 낮아 전체 투자기관 수가 회사채보다 적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5월 초까지는 전수 접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CP 투자자의 경우 회사채 투자자와 달리 100%의 동의를 문서로 받아야 하는 만큼 통과를 낙관할 수만은 없다는 것이 산은 안팎의 관측이다.


이 단계까지 마무리하면 상반기 중 채무재조정의 효력이 발생하는 등 정상화 작업이 일시에 작동하게 된다. 시중은행이 가지고 있는 1조5,000억원의 채권 80%는 주식으로 전환되고 나머지는 상환이 5년간 유예된다. 사채권자의 경우 절반은 출자전환, 절반은 3년 유예 3년 분할상환 조건으로 채권 구조가 바뀐다. 동시에 산은과 수은의 2조9,000억원 신규자금 지원도 개시된다.

관련기사



그다음부터는 대우조선해양 임직원의 몫이다. 수주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건조 중인 선박을 인도해 자체 영업을 강화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산은은 삼정KPMG의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우조선의 수주목표를 올해 2조3,000억원, 내년에는 6조1,000억여원, 2019년부터 이후 3년 동안은 매년 8조원대의 신규 수주를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우조선 직영인력을 9,000명 수준으로 줄이고 플랜트 사업 등을 떼어내는 작업도 병행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는 ‘매각’이다. 산은은 대우조선의 외형을 지난해 13조원 규모에서 2018년 7조원대 규모로 줄이고 상선과 특수선 등 경쟁력 있는 산업 분야로 줄이면 국내 업체는 물론 해외에서도 매력적인 매물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은 측은 2018년부터 본격적인 주인 찾기에 나선다는 로드맵도 세워뒀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대우조선 해양의 정상화 과정을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다운사이징·소프트랜딩(Downsizing&Soft landing)”이라며 “신규자금 지원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정상화 과정의 끝부분을 미리 공개한 것으로 이미 중동 지역 기업에서 관심을 보이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