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득 낮을수록 흡연율 높아…'흡연 불평등' 만연

울진군 '남성 흡연 불평등 1위'…여성에는 '동두천시'

전국 대부분 소득수준 대비 흡연율 "역진적"

2008~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누적 결과를 이용한 전국 흡연율 지도. (A) 전국의 남성 흡연율 지도 (B) 전국의 여성 흡연율 지도 (C) 소득수준에 따른 남성 흡연율 격차 (D) 소득수준에 따른 여성 흡연율 격차 /연합뉴스2008~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누적 결과를 이용한 전국 흡연율 지도. (A) 전국의 남성 흡연율 지도 (B) 전국의 여성 흡연율 지도 (C) 소득수준에 따른 남성 흡연율 격차 (D) 소득수준에 따른 여성 흡연율 격차 /연합뉴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더 흡연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각종 질환과 사망에 이르는 위험이 커지는 ‘흡연 불평등’이 커지고 있다.

17일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과는 지역사회건강조사(2008년~2014년)에서 159만4,873명(남성 45.4%, 여성 54.6%)을 대상으로 전국 245개 시·군·구별 소득수준에 대비한 남녀 누적 흡연율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율은 높아지는 역진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역진 구조는 전체 245개 시·군·구 중 남성의 경우 236곳(96.3%), 여성의 경우 239곳(97.5%)에서 확인됐다. 특히 상위 소득 20%의 흡연율이 하위 소득 20%보다 높은 지역은 전국에서 단 한 곳도 없었다.


지역별로 보면 남성 흡연율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최상위(상위 20%) 소득군에서 24.6%로 가장 낮았으며, 강원도 태백시의 최하위(하위 20%) 소득군에서 59.8%로 가장 높았다. 여성 흡연율은 전남 장성군 최상위 소득군에서 0.2%로 가장 낮았으며, 경기도 동두천시 최하위 소득군에서 13%로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최상위 소득수준과 최하위 소득수준 사이에 흡연율 격차가 가장 큰 곳은 남성에게는 경북 울진군(20.2%p), 여성에게는 경기도 동두천시(9.5%p)였다. 반면 최상위와 최하위 소득수준 간 흡연율 격차가 가장 적은 곳은 남성의 경우 의정부시(-3.7%p), 여성의 경우 인천시 옹진군(-1.4%p)으로 파악됐다. 전체로 봤을 때는 소득수준에 따른 흡연율의 역전 현상이 없었지만, 남녀별로는 일부 지역에서 최상위 소득수준의 흡연율이 최하위 소득수준보다 높아 마이너스(-) 격차를 보였다.

이외에도 남성 흡연 불평등이 큰 지역 2∼5위에는 경기도 안성시(18%p), 서울 마포구(17%p), 전북 고창군(16.4%p), 서울 광진구(15.2%p)가 꼽혔다. 여성 흡연 불평등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9.5%p), 경남 통영시(6.7%p), 강원 원주시(6.6%p), 부산 중구(6.5%p)의 순서로 컸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 결과가 흡연율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사회계층에 따른 흡연율의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상위 계층에서 흡연율이 높아지는 양상이 나타나지만, 담배 유행이 정점을 지나 흡연율이 감소하는 시기에는 낮은 사회계층에서 높은 흡연율이 관찰되는 선진국의 양상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박신영 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