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대한민국 국토, 1년새 여의도 15배 늘었다

간척사업 등으로 44㎢ 증가



지난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국토가 서울 여의도의 15배 크기만큼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토 현황을 정리한 ‘2017년 지적통계연보’를 발간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국토의 지적공부 등록면적은 10만339㎢로 1년 전(10만295㎢)에 비해 4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늘어난 면적은 여의도(2.9㎢)의 약 15배에 해당한다.

국토 면적이 늘어난 것은 간척사업 때문이다. 충남 부사지구 간척농지개발사업으로 11.9㎢가 새로 생겼고 경기 시화지구 대단위 농업 개발 사업지(7.6㎢), 인천국제공항 잔여 공유수면 매립지(6.8㎢) 등이 국토로 추가됐다.


광역자치단체별 면적 크기를 살펴보면 경상북도 1만9,031㎢(19.0%), 강원도 1만6,827㎢(16.8%), 전라남도 1만2,319㎢(12.3%)순으로 면적이 크다. 가장 작은 곳은 세종특별자치시(465㎢)다.

관련기사



기초자치단체는 강원 홍천군 1,820㎢(1.8%), 강원 인제군 1,645㎢(1.6%), 경북 안동시 1,522㎢(1.5%) 순으로 면적이 크고 부산 중구(2.8㎢), 대구 중구(7.1㎢), 인천 동구(7.2㎢) 순으로 면적이 작다.

국토부는 지난해 말 우리나라 국토 현황을 2007년 말과 비교하면 농경지(전·답·과수원·목장용지)와 녹지(임야·공원)는 각각 867.1㎢(4%), 577.5㎢(1%) 감소한 반면 공장·대지·학교 등 도시시설과 도로·철도 등 교통 기반 시설 토지는 각 811.6㎢(22%), 565.1㎢(20%)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10년간 도시시설과 교통 기반 시설 토지가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 화성시(44.2㎢)와 충북 충주시(25.9㎢) 등이었다.

국토부는 지적통계연보를 이달 중 공공기관과 도서관·학교·언론사 등 600여 기관에 배부하고 국토교통통계누리, 통계청 e-나라지표, 국가통계포털 등을 통해서도 제공할 계획이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