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박삼구 "우선매수권 행사 안해" 재확인

산은 "컨소시엄 불허" 입장 여전

금호타이어 매각 장기전 될듯



박삼구(사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이번에는 금호타이어 우선매수권 행사를 하지 않는다. 대신 시간을 가지고 기회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박 회장 측이 최종 시한으로 못 박았던 이날 오후 금호 측에 공문을 보냈다. 산업은행이 보낸 공문은 기존에 산업은행이 밝혔듯 “컨소시엄 허용은 불허한다”는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박 회장 측의 요구를 거부한 셈이다. 이에 따라 박 회장은 당초 예고한 대로 이번에는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을 예정이다. 이날 박 회장은 기자들과 만나 “산업은행이 컨소시엄을 허용해주지 않으면 인수하지 못한다”며 “재무적 투자자나 인수금융만으로는 인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박 회장이 금호타이어를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 금호타이어는 금호아시아나그룹 재건을 위한 마지막 퍼즐이다. 또 금호타이어 정상화를 위해 지난 2012년 5월 사재 1,130억원을 투입하는 등 공을 들여왔다. 박 회장의 애착이 큰 아픈 손가락이다. ‘이번에는’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앞서 낸 이유도 다음번 기회를 노리겠다는 뜻을 내포한다. 특히 금호타이어 매각 과정에서 컨소시엄 구성 허용 여부 논의와 관련한 각종 절차적 하자가 있었고 ‘금호’ 상표권 등 여러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만큼 향후 기회가 생길 수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실제로 우선협상대상자와의 매각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6개월 후에 우선매수권자가 관련 권리를 다시 한번 행사할 수 있다.

관련기사



변수도 많다. 채권단이 20일 더블스타와 거래를 시작하면 3개월 이내에 잔금을 치르고 거래를 마무리할 수 있고 정부승인과 관련해서 1개월, 또 채권자의 요청으로 1개월 연장할 수 있다. 채권단과 더블스타가 최대 5개월 동안 거래절차를 밟아야 하지만 중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금호타이어 임직원 및 협력업체의 고용 승계 문제 등이 변수가 될 수 있다. 야당 정치인을 중심으로 금호타이어 매각 반대 여론도 높다. 특히 대선 이후 경제부총리나 금융위원장·산업은행장까지 줄줄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금호타이어 매각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등의 가능성도 열려 있다. 금호아시아나 관계자는 “산은이 보낸 공문을 검토 중이며 곧 입장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