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오피스·상가·토지

성수동 '힙플'이라는 이유만으로 창업했다간...전문가 신중한 검토 당부

서울숲과 뚝섬 인근의 서울 성수동 골목상권이 가파르게 성장 중이지만 이 지역 내 신규창업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수익형부동산 정보업체 ‘상가정보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성동구의 점포 증가율은 21.7%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의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성수1가 1동의 점포 증가율은 52.2%에 달한다. 상권이 빠르게 활성화되고 일반주택이 상가 건물로 리모델링하는 사례 등이 유행처럼 번진 결과다.

하지만 폐업신고율 등을 통해 산출한 ‘신규 창업 위험도’에서 성동구는 위험군에 속한다. 실제로 성수동 1가 1동의 폐업 신고율은 2015년 4분기 19.5%에서 2016년 4분기 23.5%로 급증했다. 성수동 1가 2동은 10.6%에서 14.7%로, 성수동2가 1동은 11.1%에서 18.4%로 높아졌다. 급격하게 상권이 활성화되면서 임대료 상승을 감당하지 못한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서울시는 골목 상권 보호를 위해 대기업과 프랜차이즈 업소 진출을 제한하는 내용의 ‘뚝섬 주변 지역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안’을 만들었지만 한계가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일대 상가 임대료와 권리금이 급등하면서 골목상권이라는 말이 무색한 럭셔리 상권으로 변모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결국 신규 창업자가 무턱대고 성수동이 ‘힙플레이스’라는 이유만으로 창업하는 건 위험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성수동 상권처럼 발달속도가 빠른 곳은 임대료 상승폭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임대료 상승에 따른 폐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창업 전 신중한 검토가 필수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성수동 상권은 개성 있는 아이템과 마케팅을 통해 고객 유입을 노려야 하기 때문에 경험과 노하우없이 창업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