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자의 눈] 대중적이지 않은 대중교통

이두형 사회부기자





프랑스에서는 ‘교통 약자’란 말을 쉽게 떠올리지 못한다. 그 배경에는 장애인과 영유아 등 교통약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있다. 버스는 최대한 정류장 가까이 정차해 유모차나 휠체어가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다. 버스와 정류장의 높이를 맞춰 장애물을 없앤 것은 기본이다. 또 다른 대중교통 수단인 도심전차(트램)도 마찬가지다.

‘4명 중 1명’ 지난 21일 국토교통부는 우리나라 교통약자가 전체 인구의 25.7%에 이른다고 밝혔다. 국민 4명 중 1명꼴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불리한 조건을 가졌다는 뜻이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51.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영유아동반자(17.1%)와 장애인(10.7%)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63점’ 같은 날 시민들은 이동편의시설 만족도에 낙제점 수준인 평균 63점을 줬다. 서경 캠페인 ‘제발, 이것만은 바꿉시다’ 취재 과정에서 확인한 현장 실태는 예상보다 심각했다. 버스가 정류장에서 10m 가량 떨어졌는데도 정차하기 일쑤였다. 불법 주정차차량과 뒤엉켜 길 한가운데서 타고 내리는 경우도 다반사다. 일반인도 불편한 상황에서 아이를 태운 유모차와 장애인이 겪는 고충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3분과 22분’ 지하철이라고 다르지 않다. 지난 16일 한 장애인단체가 내놓은 보고서를 보면 지하철을 갈아타는 데 걸리는 시간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은 22분으로 일반인 3분보다 7배 이상 걸렸다. 수십 개의 계단과 복잡한 통로, 여러 차례 바꿔 타야 하는 엘리베이터 등 장애인에게 지하철역은 ‘미로’였다.

대중교통은 대중(大衆)의 교통수단으로 누구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국토부는 지난 2월 현재 22% 수준인 전국 저상버스 보급률을 오는 2021년까지 42%대로 확대하는 등의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버스의 높이를 낮춘다고 난관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올바른 버스 정차와 엘리베이터 등 보조수단 강화와 같은 세심한 배려가 뒷받침돼야 진정한 ‘대중의 발’로 자리 잡을 수 있다.

mcdjrp@sedaily.com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