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은퇴 앞둔 베이비부머 새 정부에 바란다 "일자리 연계 지원"

50+세대(50∼64세)를 위해 가장 시급한 새 정부 정책에 대한 답변. /자료=50플러스재단50+세대(50∼64세)를 위해 가장 시급한 새 정부 정책에 대한 답변. /자료=50플러스재단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한 베이비부머 절반 이상이 새 정부에 바라는 1순위 정책으로 ‘일자리 연계 지원’을 꼽았다.

서울시 50플러스재단은 지난 7∼13일 만 50∼64세 베이비부머(50+세대)를 대상으로 ‘50+세대가 바라는 50+정책’에 관해 설문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이 설문은 제 19대 대선을 앞두고 신(新) 노년이라 일컫는 중장년층이 새 정부에 바라는 정책이 무엇인지 그 방향을 고민해 보기 위해 진행됐다. 모두 955명이 참여했고, 그 중 만 50∼64세는 총 688명으로 전체 참여자의 76%를 차지했다.

설문 결과 50+세대를 위한 가장 시급한 새 정부 정책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1%가 ‘일자리 연계 지원’이라 답했다. 이어 인생 재설계 지원(26%), 의료 및 건강 복지혜택(9%), 세대갈등 해소(4%)가 뒤를 이었다.


은퇴 후에도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중장년층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난 설문 결과다. 정건화 한신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의 50+세대는 단순히 복지차원에서 돌봄의 대상이 되기를 원치 않는다”며 “자신과 사회를 위해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생 2막’이 열리길 기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50세부터 100세까지를 하나로 묶어 ‘시니어 정책’을 내놓는 대신 세대별 성격과 특성을 촘촘히 분석한 현실성 있는 노년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절대적으로 공감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6월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만 50∼64세 중장년층을 위한 일자리·교육·문화 등을 지원하는 ‘50+세대 종합지원정책’을 발표, 이를 추진할 ‘50플러스 재단’을 출범했다.

지자체 최초로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의 이 같은 50+세대 지원정책이 전국적으로 확대돼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95%가 ‘그렇다’고 답했다.

만약 50+세대 지원정책이 전국적으로 확산 된다면 가장 필요로 하는 부문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상담·교육·일자리·커뮤니티 등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50+세대 전문 지원 시설 확대가 절반(52%) 이상을 차지했다. 50+세대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한 새 일자리 모델 발굴(39%)에 대한 수요가 뒤를 이었다.

이경희 서울시 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는 “2018년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대한민국 고령사회 모습을 좌우할 50+세대에 집중해 설문을 진행했다”며 “단순 생계형 일자리 연계가 아닌 인생 재설계, 커리어 모색과 같은 프로그램을 다채롭게 개발해 활기찬 노후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