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KISTI, 슈퍼컴퓨팅 기반의 국산 엔지니어링 SW 육성 나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슈퍼컴퓨팅 기반의 국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육성에 본격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는 가상의 공간에서 제품을 설계하고 실험하여, 성능을 사전에 검증 및 예측하는 기술집약적 소프트웨어로, 제품 개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기술이다.


KISTI는 우선 국내 엔지니어링 SW 관련 기업들의 SW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국산 SW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레퍼런스를 구축하고 다양한 엔지니어링 SW 관련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KISTI는 국산 엔지니어링 SW가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대표적인 활용사례가 부족하고 인지도가 낮아 국내 제조 기업들이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고 보고 제조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국산 엔지니어링 SW로 분석한 후 실험으로 검증하고 외산 SW의 결과와 비교해 총 8종의 국산 SW에 대한 기술수준을 검증하기 위한 레퍼런스 구축을 추진했다.


또한 국내 엔지니어링 SW 개발기업의 지속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물성DB구축, 국내외 기술·시장 분석 등 공통인프라를 제공한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해 5종의 SW를 슈퍼컴퓨팅 자원과 함께 서비스하고 있다.

관련기사



KISTI는 현재 7개 국내 엔지니어링 SW 개발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중 2종의 국산 엔지니어링 SW 개발을 완료했고 2건의 특허출원과 6건의 소프트웨어 등록과 함께 국내외 판로개척을 통한 SW 신규 판매와 관련 기술용역 수주 등 14건, 5억원의 사업화 성과를 거두었다.

향후 2년간 9종의 엔지니어링 SW 개발 지원 및 13건의 레퍼런스 구축을 추가적으로 진행하고, 국내 기업들이 기술개발에 매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인프라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선화 KISTI 원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엔지니어링 SW는 향후 우리나라의 제조혁신을 견인해 최종적으로 미래 제조업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제조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