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슈 & 워치] 인수위 없는 차관내각…줄대기 바쁜 공직사회

차기대통령 장관임명 전까지

실세차관이 업무·인사 맡아

관료·캠프출신 하마평 무성

경제부처 A 국장은 요즘 업무보다 ‘복도통신’에 더 관심이 많다. 복도통신의 핵심 주제는 장관보다는 초대 차관이다. 차기 대통령은 인수위원회 없이 선거 다음날부터 바로 업무를 시작한다. 장관 임명부터 통치철학에 맞춰 업무를 계획하고 준비할 시간이 없다. 이 때문에 실세차관부터 임명한 뒤 국정을 운영할 것으로 정부 안팎에서는 보고 있다. 차관내각이 꾸려지는 것이다. 관가는 실세차관이 장관이 임명될 때까지 업무는 물론 인사권까지 사실상 행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새 정권의 선발대로 그 임무가 막중한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통령선거까지 불과 보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공직사회는 폭풍 전야다. 겉으로는 평온한 것 같지만 곧 떠날 사람들과 그 자리를 차지할 사람이 누구인가에 모든 눈과 귀가 쏠려 있다. 소문은 무성하다. “B 실장은 과거 상사로 모셨던 분이 모 캠프에 가 있어 차관으로 가장 유력하다”부터 “C 실장이 승진을 위해 네트워크를 가동하고 있다” “D 실장이 업무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는 설까지. 부처의 한 과장은 “고시 기수와 출신지역을 중심으로 하마평이 돌고 있는데 정작 누가 될지 예단하기 어렵다”며 “그만큼 변수가 많다는 얘기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단 전임 정부에서 요직을 차지했거나 인연(因緣)이 있는 인물들은 배제될 것”이라며 “반대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당시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경력을 가진 인사들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과거부터 부처 차관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부승진이 많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관료사회의 연공서열 벽을 깨고 캠프와 코드가 맞는 인사를 파격 발탁하거나 캠프 출신 인사를 직접 내려보낼 수 있다는 얘기까지 심심찮게 나온다. 정작 하마평에 오른 인사들은 유탄을 맞을까 우려하며 몸을 낮추고 있는 이유다./세종=김정곤·서민준기자 mckids@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