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文 "트럼프의 北 제재·압박 방식 동의"

"알려진 것보다 이성적…核 협상장 이끌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사전투표 참여를 당부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사전투표 참여를 당부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제재 기조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2일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전략적 인내’를 실패로 규정한 트럼프 정부의 인식에 동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압박하고 제재를 가하는 방법과 선제공격 가능성까지 열어놓고 있다”며 “나는 궁극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행동은 북한을 핵 협상장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문 후보는 이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트럼프 대통령이 훨씬 이성적이라고 믿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강한 레토릭을 구사하지만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햄버거를 먹으며 회담한다고 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나 역시 북핵을 풀기 위해서라면 실용적으로 접근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후보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도입에 대해서는 한국 정부의 절차적 문제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선거에 개입하기 위해 예정보다 앞당겨 사드를 배치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미국이 그런 의도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의구심은 든다”며 “사드 배치 결정의 가장 큰 문제는 민주적 절차가 부족했던 것”이라고 답했다. 더 나아가 “미국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진다면 국회의 비준이나 동의 없이 행정부가 결정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문 후보는 당선되면 미국보다 평양에 먼저 가겠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다. 그는 “북핵을 해결할 수 있다면 미국과 먼저 논의한 후 북한에 가겠다는 의도였다”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기 위한 만남은 추진하지 않겠다. 북핵 해결 기류가 조성되면 만나겠다”고 말했다. 워싱턴 정가가 문 후보를 대북 친화적 인물로 생각한다는 지적에는 “노무현 정부에서 한국은 이라크에 군을 파병했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어 동맹을 강화했다”고 반박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