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조업 불황에…자연계열 전공男 취업문 더 좁아졌다

작년 하반기 4.9%P↓…인문사회 계열보다 낮아

공학계열보다 선호도 낮아 취업 기회 더 줄듯

자연계열 남성 고용률, 인문계에 밀려자연계열 남성 고용률, 인문계에 밀려


자연계열 전공 청년 남성의 고용률이 지난해 급락하면서 인문사회 계열에 처음으로 추월당했다. 지난해 산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공학계열보다 상대적으로 취업이 불리한 자연계열이 더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자연계열을 전공한 15∼29세 청년 남성의 고용률은 69.6%였다. 이는 1년 전인 2015년 하반기보다 4.9%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하반기 기준으로 가장 낮은 것이다.


자연계열 청년 남성의 고용률은 불과 2013∼2014년만 해도 전체 평균 고용률인 약 75%를 웃도는 77% 내외를 기록하는 등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2015년 1분기에 전년보다 5.3%포인트나 하락한 69.3%를 기록한 뒤 70% 내외에서 맴돌고 있다.

자연계열 청년 남성의 고용률은 2013년 이후 처음으로 인문사회 전공 청년 남성들에게 추월당하고 말았다. 지난해 하반기 인문사회 전공 청년 남성 고용률은 69.7%로 자연계열 전공자보다 0.1%포인트 높았다. 인문사회 청년 남성 고용률도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지만 하락 폭이 0.5%포인트 내외로 자연계열 보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더딘 편이다.

자연계열 전공 청년 남성 고용률은 같은 전공의 청년 여성의 고용률에도 처음으로 뒤처졌다. 지난해 2분기 자연계열을 전공한 청년 여성 고용률은 1년 전보다 1.8%포인트 떨어진 70.5%에 그쳤지만, 남성보다는 0.9%포인트 높았다.


전문가들은 자연계열 남성의 고용률의 급격한 하락이 지난해 정점을 찍은 제조업 고용 한파와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제조업은 업종 특징상 취업자 대부분이 공학계열이나 자연계열 전공자들이다.

관련기사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지난해 3분기 직무별 채용공고 204만여 건을 분석한 결과 생산·제조 업종의 62.7%가 공학계열을, 10.8%가 자연계열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선·해운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한파가 지속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7월 6만 5,000명 줄어든 이후 9개월째 내리막길을 걷는 중이다. 제조업 불황이 계속되면서 취업 문이 좁아졌고 이 때문에 공학계열 전공자보다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은 자연계열 전공자의 기회가 더 제한된 것으로 보인다.

여성보다 남성의 고용률이 더 빠르게 악화한 것은 전체적으로 지난해 남성 고용률이 여성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경향과 관련이 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자연계열 전공 여성의 고용률이 높게 나온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여성의 사정이 낫다고는 볼 수 없다. 지난해 남녀 모두 고용률이 하락한 가운데 남성의 상황이 더 안 좋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