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해운불황·사드보복 직격탄…1분기 서비스수지 적자 사상 최대

3월 여행수지 적자 메르스 사태 이후 최대

경상수지 흑자 59.3억달러로 대폭 감소

우리나라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를 두고 중국이 가한 무역 보복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1·4분기 서비스수지가 사상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7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3월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는 59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2012년 3월부터 61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3월 흑자규모는 지난 2월(84억 달러)보다 24억7,000만 달러 줄었다. 상품수지 흑자는 98억 달러로 2월(105억5,000만 달러)에 비해 7억5,000만 달러 줄었다.

수출은 503억8,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8% 늘었고 수입은 405억8,000만 달러로 27.5% 증가했다. 한은은 “수출이 증가세를 지속했지만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 관련 제품의 수입규모가 커지면서 상품수지 규모는 다소 줄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경상수지에서 서비스수지 적자는 3월 32억7,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9억2,000만 달러)의 3배를 넘어섰다. 특히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1월(33억6,000만 달러)에 이어 월간 적자 규모로는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올해 1·4분기 동안 서비스수지의 적자 규모는 88억6,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국내 최대 해운사인 한진해운 파산 등 해운업 불황 여파로 3월 운송수지 적자가 6억2,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2월보다 5,000달러 증가한 수준은 월간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다. 이와 함께 3월 중국인 관광객 감소와 겨울방학을 이용한 해외여행객 증가로 인해 여행수지 적자가 13억5,000만달러에 달했다. 이는 메르스 사태 직후인 2015년 7월(14억7,000만달러 적자) 이후 1년 8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자본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부채)은 60억 달러 늘어 증가 폭이 전년 동월(120억4,000만 달러)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6억2,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달러 31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국내 보험사의 해외 장기채 매입이 늘면서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94억3,000만 달러 증가해 월간 증가 규모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3월은 국내 상장사들의 실적 개선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바이코리아’가 이어지면서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도 70억4,000만 달러 증가해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 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6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