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미세먼지 측정소 주변서 스모그저감장비 운용 의혹

중국에서 운용되는 물안개 대포 모습/연합뉴스중국에서 운용되는 물안개 대포 모습/연합뉴스


5월 황금 연휴를 망친 중국발 황사가 여전히 한반도를 뒤덮은 가운데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환경수치에 대한 각종 의혹이 커지고 있어 중국인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7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이와 관련한 각종 의혹들에 대해 베이징 환경당국은 “환경수치를 조작하거나 허위보고하는 사례는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베이징이 도입한 스모그 저감을 위한 물안개 대포가 환경감측지점 주변을 맴돌고 있다는 시민들의 의혹이 계속 제기되자 정부가 나선 것이다.

이에 베이징시는 환경수치의 정확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수치를 조작하려는 어떤 시도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베이징 시민들은 온라인상에서 물안개 대포가 환경감측지점 주변만 맴돌고 있으며 이들 지역과 다른 지역간 수치가 10배나 차이나 난다고 주장해왔다.


베이징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기중에 PM 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 먼지)나 PM 10(지름 10㎛ 이하 미세먼지)과 같은 작은 입자 크기의 물안개를 분무, 먼지 등과 결합해 땅에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 스모그 저감용 물안개 대포를 운영하고 있다. 이후 꾸준히 환경수치 신뢰도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자 환경조사요원들과 현지 기업간 물리적 충돌과 방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16일에는 산둥(山東)성 지난(濟南)시에 환경감시요원들이 한 민간기업에서 한시간동안 억류됐다가 풀려났다. 이 회사가 억류된 이유는 관련자료 제공을 거부하고 오염배출조사를 위한 요원들의 시설 진입을 막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이뿐만 아니다. 지난달 17일 허베이(河北)성의 싱타이(邢台)에서는 환경감시요원들이 환경조사를 나갔다가 신분증을 뺏기는 사태도 벌어졌다. 이에 대해 중국은 지난달 전국적으로 실시한 대기오염 조사에서 수도권인 징진지(京津冀,베이징·톈진·허베이의 약칭)와 주변지역 28개 도시의 4,077개 기업 가운데 2,808개 기업이 관련규정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사회과학원의 연구원인 왕겅천은 “중국 정부가 오염원배출을 단속하면서 현지 기업들의 저항이 커지고 있다면서 이들 기업들은 규정위반에 따른 과징금 등 비용이 규정순응에 따른 비용보다 훨씬 싸게 먹힌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일부 지역에서는 지방정부가 기업들을 보호하는 사례도 있어 독립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