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릉·삼척·상주 산불...산림 140㏊ 등 소실] 강풍·건조한 날씨에 부주의가 '참사' 불씨로

강원 동해안은 봄철 가장 건조

입산자 실화·논두렁 소각 큰원인

주말 전국서 16건 산불 발생

초속 15~20m 강풍에 진화 애먹어

강원·경북에 교부세 27억 지원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7일 새벽 인근 마을을 위협하고 있다. /강릉=연합뉴스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7일 새벽 인근 마을을 위협하고 있다. /강릉=연합뉴스


황금연휴 막바지인 지난 6일 강원도 강릉과 삼척, 경북 상주 등에서 대규모 산불이 난 것은 사람들의 부주의와 건조한 날씨, 강한 바람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7일 산림청에 따르면 강릉·삼척·상주를 비롯해 전국에서 총 16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우선 산불이 난 강릉과 삼척 등 동해안은 이맘때 전국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으로 꼽힌다. 실제 강원도 내 건조특보는 지난달 23일 강릉 평지를 시작으로 27일부터 전역으로 확대됐다. 산불이 난 강릉·삼척을 비롯해 동해·속초·고성·양양 등 동해안 6개 시·군에는 28일부터 건조경보가 발효 중이었다.



강한 바람도 산불 피해를 빠르게 확산시킨 주범이다. 산불이 난 강릉과 삼척 지역에는 6일 오후부터 강풍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초속 15~20m의 강풍이 몰아쳤다. 산불이 강풍을 타고 번지면서 불길 확산 속도가 워낙 빨라 산림 당국과 소방 당국은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산불이 났을 때 바람이 불면 확산 속도가 26배가량 빨라진다. 바람이 없을 때 산불은 분당 0.57m의 느린 속도로 이동하지만 바람이 초속 6m로 불 경우 확산 속도가 분당 최대 15m까지 빨라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과거 2000년 동해안 산불, 2002년 충남 청양·예산 산불, 2005년 강원도 양양 산불 등 대형 산불도 대부분 건조한 날씨에 편서풍이 부는 봄철(3∼4월)에 발생했다.


입산자 실화 등 부주의도 이번 산불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6일 발생한 강릉·삼척·상주 3개 지역의 산불은 모두 입산자 실화 또는 논두렁 소각으로 난 불이 강풍을 타고 크게 번졌다.

관련기사



실제 강원도 소방본부가 최근 3년간 봄철(3~5월) 도내에서 발생한 화재 2,425건의 발화요인을 분석한 결과 ‘부주의’가 1,586건(65.4%)으로 가장 많았다. 화재를 일으킨 부주의 요인은 담배꽁초(36%), 쓰레기 소각(21%) 등의 순이었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이날 강릉시청에서 “산림 내에서 소각, 흡연과 같은 불씨 취급을 철저히 금지하는 등 산불 예방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국민안전처는 이번 산불로 전소한 주택에 900만원의 주거비와 구호비 등을 신속히 지원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피해주민의 요청이 있을 경우 임시 주거시설을 최대 6개월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또 조기 복구와 산불 추가 발생 방지를 위해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총 27억원의 특별교부세를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특별교부세는 강릉에 10억원, 삼척에 10억원, 상주에 7억원이 각각 지원된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최근 건조한 날씨가 지속돼 대형 산불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기인 만큼 철저한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우인·박희윤기자 wipark@sedaily.com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