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 재건축·재개발 하반기 5만가구 이주…전셋값 상승 부채질하나

둔촌주공,개포주공1 등 강남권 2만여가구 이주 대기

강북도 재개발 이주 잇따라…전세시장 불안 우려

개포 주공 1단지 전경 /연합뉴스개포 주공 1단지 전경 /연합뉴스


올해 하반기 이후 서울에서 이주하는 재건축·재개발 수요가 5만가구에 육박하면서 인근 전셋값 인상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서울 지역에서 사업승인 이후 관리처분을 받았거나 앞둔 재건축·재개발 단지는 총 4만8,921가구(단독주택 재건축 물량은 제외)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통상 사업승인을 받고 관리처분인가 신청까지 6∼8개월이 소요되고, 관리처분인가와 이주까지 다시 3∼6개월가량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단지는 올해 하반기 이후 순차적으로 이주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재건축·재개발 단지 가운데 전체의 42%에 육박하는 2만462가구가 강남 4구에 몰려 있어 강남권과 인근 수도권 전세시장을 자극하는 불쏘시개 역할을 할 것으로 우려된다.


당장 올해 7월부터 6,000가구에 육박하는 둔촌주공아파트 이주가 본격화된다. 지난 2일 둔촌주공아파트 관리처분인가가 떨어지면서 거주자들이 인근 지역으로 전세를 알아보기 시작했다. 중개업계에 따르면 집주인들은 인근 중형 아파트 전세를 얻을 수 있지만 세입자들은 기존 전세금으로 강동구 내에 아파트 전세를 얻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강동구 일대는 물론 송파구와 하남·남양주시 등 인근 지역의 소형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의 전셋값이 들썩일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이르면 올해 말에는 5,40가구의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의 이주도 시작된다. 초대형 단지인데 헌재 전셋값은 6,000만∼1억5,000만원 선에 그쳐 인근 지역의 연립·오피스텔·다가구 주택이나 서울 외곽 등지의 전세시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개포동 중개업소 대표는 “개포주공1단지는 워낙 낡기도 했고 재건축이 오랜 기간 진행되면서 대부분 단기 세입자들이 거주하고 있었다”며 “이주가 시작되면 이 동네 아파트보다는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싼 외곽의 다세대, 연립 등지로 몰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북에서도 재개발 사업 등으로 이주가 이어질 전망이다. 서대문구의 경우 사업승인∼관리처분 단계에 있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5,440가구에 이르고 동대문구 4,552가구, 성북구 4,151가구, 은평구 2,920가구, 양천구 2,064가구, 동작구 2,003가구 등 이주 대기 물량이 많다.

강북권역은 최근 아파트, 단독·다가구, 연립·다세대 등 전체 주택의 전셋값 상승 폭이 강남권보다 큰 상황이어서 앞으로 재개발 등 이주로 인해 전세시장이 더 불안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