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새 정부 "새 금융위원장 민간서 추천해달라"

금융지주사에 요청

새 정부가 금융정책을 총괄하는 금융위원장을 민간 출신에서 발탁한다는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민간 출신 금융위원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 전광우 전 위원장이 유일해 최종 인선 결과가 주목된다. 일부에서는 민간 출신 금융위원장 카드는 청와대 민정수석에 비검찰 출신인 조국 교수를 내정하고 인사수석에도 전례가 없는 여성 인사를 파격적으로 기용한 흐름과도 무관치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측은 최근 일부 금융지주 회장들에게 ‘새 금융위원장 후보로 관료 출신이 아닌 민간 출신 중에 추천할 만한 사람이 없느냐’고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익명을 원한 한 금융지주 고위관계자는 “새 정부가 민간 출신 금융위원장을 발탁하려는 것 같다”며 “일부 금융지주 회장에게 금융위원장 후보를 민간에서 추천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금융위원장 후보 추천 조건의) 1순위가 민간 출신이고 2순위가 관료 출신이지만 민간 경험이 있는 인사였고 마지막 3순위가 관료 출신이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첫 금융위원장으로 민간인 출신이 기용되면 이명박 전 대통령 취임 당시 초대 금융위원장이었던 전광우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에 이어 두 번째가 된다.

관련기사



민간 금융위원장 카드와 관련해서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금융규제 개혁을 내걸었지만 실질적으로 개혁이 지지부진함에 따라 민간인 출신을 선봉에 세워 규제 철폐에 속도를 내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까지 금융규제가 ‘원칙적 금지, 예외적 허용’으로 이뤄졌는데 이런 프레임에서는 일대 전환이 어렵다고 보고 민간 출신의 추진력과 유연성이 금융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하지만 민간 출신 후보군이 두텁지 않다는 게 고민이다. 민간인 출신 가운데는 교수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을 지낸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문재인캠프에서 정책특보로 활동한 김기식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도가 거론된다. ‘2순위’인 민과 관 경험이 함께 있는 인사로는 김용환 농협금융지주 회장, ‘3순위’인 관 출신으로는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출신인 이병래 예탁결제원 사장 등이 꼽힌다. /김보리·이주원기자 boris@sedaily.com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