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건강 팁] 허리통증, 운동·물리치료 OK 복대는 NO

자고 일어난 후 또는 허리를 숙인 채 오래 작업을 했을 때 갑자기 허리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런 급성 허리통증은 보통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회복되고는 한다. 하지만 허리통증이 한 달 이상 이어지거나 반복된다면 허리에 구조적 문제가 발생했거나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

급성 허리통증의 경우 소염진통제를 복용하거나 물리치료를 받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반대로 복대 같은 허리보조기는 통증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부족하고 오래 착용하면 오히려 허리 근육이 약해질 수 있는 만큼 권하지 않는다. 또 통증이 있을 때 누워만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보다는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편이 좋다.


만성 허리통증이나 ‘허리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 또 척추관 협착증 등에 시달리는 환자들의 경우 신경차단술이나 신경성형술과 같은 시술을 받기도 한다. 이런 시술의 목적은 통증을 줄이는 것이다. 시술 자체만으로 튀어나온 디스크를 들어가게 하거나 이미 일어난 퇴행성 변화를 되돌리지는 못한다. 반복적으로 시술하면 합병증의 위험도 있기 때문에 통증이 심한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시행된다. 이 같은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 문제가 호전되지 않는 환자들에게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관련기사



허리통증 관리에 가장 중요한 점은 더 이상 허리를 손상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허리는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한 번 손상되면 돌이키기 어렵다.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는 디스크에 강한 압력을 가해 손상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쪼그리고 앉거나 허리를 숙인 채 장시간 작업을 하는 일은 피하는 편이 좋다. 중간중간 일어나 가볍게 걷거나 허리를 움직여 허리가 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적절한 운동도 만성 허리통증을 호전시키고 재발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만 급성 허리통증이나 만성 요통이 심해진 경우에는 운동을 하기도 힘든데다 당장 통증에 좋아지는 것도 아니니 무리할 필요는 없다.

/김원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