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작년 스팩 상장 73% 급감 12건

다른 법인과 합병을 목적으로 설립한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의 상장이 작년에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스팩 상장 건수는 12건으로 2015년도(45건)에 비해 73.3%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팩은 2009년 12월 도입돼 2010년에 21개가 집중 상장된 이후 상장이 거의 없다가 2014년 26개가 상장되면서 다시 활발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0년 이후 올해 1·4분기까지 코스피 2개, 코스닥 106개의 스팩이 상장됐는데 코스닥의 경우 전체 상장 건수의 21.3%를 차지한다”며 “공급 과잉으로 스팩 상장 건수가 줄어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2014년 6월 자기자본 요건이 완화되면서 스팩의 평균 공모금액도 2013년까지 상장된 24개의 경우 258억원이었으나 2014년 이후 상장된 85개는 106억원으로 41% 감소했다.

관련기사



상장된 스팩 109개 중 42개는 비상장법인과 합병이 완료됐고 6개는 합병절차가 진행 중이다. 합병완료 건수는 2014년 1건에서 2015년 13건, 2016년 12건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1·4분기까지 지난해 전체의 절반인 6건의 합병이 이뤄졌다.

합병을 마쳤거나 진행중인 48개 스팩 중 과반인 27개는 정보기술(IT) 18개와 바이오 9개 기업을 합병대상으로 삼았다. 제조업(11개), 기타(10개)가 뒤를 이었다.

김도인 금감원 기업공시국장은 “스팩에 투자하려면 스팩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합병대상 비상장법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투자해야 한다”며 “특히 스팩 합병 결정 공시 전 단기간에 급등하는 스팩 종목의 단순 추종매수 등은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