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경제TV] LH, 새 정부 공적임대 85만가구·도시재생 뉴딜 위해 조직개편

기존 사업본부를 도시재생본부·스마트도시본부로 확대개편

도시재생뉴딜, 4차산업혁명 기반 스마트시티 조성 등 전담

한국토지주택공사 진주 사옥 외경. / 사진=서울경제TV DB한국토지주택공사 진주 사옥 외경. / 사진=서울경제TV DB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새 정부의 부동산 관련 정책 공약을 수행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새 정부 공약중 LH와 관련된 주요 공약은 ‘공적임대주택 85만호 공급’, ‘도시재생뉴딜’, ‘스마트시티 조성 확산’ 등이다. LH는 이중 공적임대주택 공급 부문은 기존에 해당업무를 수행하던 조직에서 소화하고, 도시재생뉴딜과 스마트시티 조성 부문의 조직을 보완했다.

우선 도시재생뉴딜 정책과 관련해 기존의 행복주택본부를 도시재생본부로 개편하고 정책우선순위 변경을 반영해 도시재생계획처와 도시정비사업처의 직제순위를 상향했다. 또한 6월중으로 전국 11개 지역본부에 도시재생관련 전담조직 설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도시재생뉴딜은 기존 주택들을 완전히 철거하고 아파트 등을 새로 짓는 재개발·재건축과는 달리, 쇠퇴한 도심의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인프라는 물론 해당 지역의 공동체, 문화 등 사회·경제적 분야까지 활성화 시키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관련기사



연간 100개씩 5년간 총 500개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는 새 정부 공약에 따라 LH는 개편된 조직을 중심으로 사업비 투입을 대폭 확대해 도시재생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시티 조성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도시환경본부를 스마트도시본부로 변경하고 스마트시티추진단을 스마트도시개발처로 확대 개편했다.

스마트시티는 교통혼잡·실업·범죄·에너지부족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미래 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해결하고, 시민과 기업, 행정기관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도시민의 삶을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변화시키는 도시를 의미한다.

현재 LH는 세종시, 동탄2지구, 판교 알파돔, 평택고덕지구를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고 있으며,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개발하여 해외수출도 추진 중이다. 지난 4월에는 쿠웨이트와 분당 3배 규모의 스마트시티 건설계약을 체결했고, 베트남, 미얀마, 인도와 스마트시티 수출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후속업무를 진행 중이다.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