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발레는 여성적?…선입견을 깨다

'대한민국발레축제' 6월8일 개막

11개 단체 12가지 작품 선보여

유니버설·국립발레단 초청공연도

유니버설발레단 ‘디스이즈모던’ /사진제공=예술의전당유니버설발레단 ‘디스이즈모던’ /사진제공=예술의전당




‘발레는 어렵다’ ‘발레는 여성스럽다’는 이제 옛말로 넣어두자. 오는 6월 8일부터 25일까지 예술의전당에서 진행되는 ‘제7회 대한민국발레축제’는 발레 애호가는 물론 초심자까지 어려움 없이 즐길 수 있다. 클래식 발레부터 젊은 안무가들의 모던발레까지 총 11개 단체가 선보이는 12가지 작품을 본인의 취향과 수준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번 발레축제에서는 특히 남성 안무가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공모에 선정된 7개의 작품 중 6개가 남성 안무가들이 무대를 꾸민 작품이다.

초청작은 클래식발레의 정수 국립발레단과 모던발레의 대가 유니버설발레단이 책임진다. 국립발레단은 ‘발레 갈라’와 ‘스파르타쿠스’를 선보인다. ‘발레 갈라’는 총 3부로 구성된 작품으로 ‘돈키호테 3막 중 그랑 파드되’ ‘세레나데’ ‘오감도’ ‘빈집’ ‘트로이 게임’ 등으로 구성된다. ‘스파르타쿠스’는 남성 무용수들이 격정적인 군무를 펼치며 ‘발레는 여성적’이라는 선입견을 과감히 부술 작정이다. 유니버설발레단의 ‘디스이즈모던’은 ‘프티 모르(Petite Mort)’ ‘마이너스 7(MINUS 7)’ ‘화이트 슬립(White Sleep)’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 축제를 관통하는 주제는 바로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의 삶’이다. 유행했던 TV 드라마 ‘미생’에서 모티프를 얻었다는 ‘The Last Exit’는 와이즈발레단의 작품으로 현실에서 일어나는 갑을관계의 비상구를 안무로 표현했다. 이루다 블랙토 프로젝트의 ‘Black Swan Lake “R”’에서는 개개인이 치열한 경쟁 위주의 사회에서 느낀 저항, 반항 그리고 좌절을 빨강이란 색으로 드러냈다. 김용걸댄스시어터의 ‘step by step’ 역시 한 무용가의 삶을 재조명해 1%에 들지 못하더라도 절망감 대신 행복함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다크서클즈 컨템포러리 댄스의 ‘평범한 남자들’ 또한 개성을 감추고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의 소심한 일탈을 무대 위에서 표출한다. 이외에도 서울발레시어터의 ‘한여름 밤의 꿈’, M발레단의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 신현지 B PROJECT의 ‘Moment’ 등이 공모 선정작으로 무대에 오른다.

관련기사



눈에 띄는 신작발레도 있다. 워싱턴발레단 주역 무용수 출신의 중견 안무가 조주현과 스페인 국립무용단 수석 무용수인 김세연이 기획공연을 통해 신작을 소개한다. ‘여인의 삶과 죽음’이라는 공통 주제로 안무가 조주현은 외증조할머니가 남긴 ‘생일기념’이라는 글을 보며 느낀 감정을 표현한 ‘동행’을, 안무가 김세연은 죽음에 사로잡힌 한 여인과 그녀를 지키기 위해 곁을 맴도는 신비스러운 존재, 그리고 죽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또 다른 여인의 갈등을 표현한 ‘죽음과 여인’을 관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축제는 6월 8일 CJ 토월극장에서 유니버설발레단의 ‘디스이즈모던’을 시작으로 오페라극장, 자유소극장에서 진행된다. 발레 체험 클래스와 발레 특강 또한 빼놓을 수 없는 행사다. 입장권은 예술의전당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다.

국립발레단 ‘발레 갈라’ /사진제공=예술의전당국립발레단 ‘발레 갈라’ /사진제공=예술의전당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