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서울경제신문이 ‘미래 한국:차세대 성장엔진을 위한 소프트 인프라’를 주제로 개최한 ‘서울포럼 2017’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한 다양한 제언과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언론에 보낸 첫 메시지에서 “정부와 기업·사람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4차 산업혁명의 과실이 국민에게 돌아가도록 할 것”이라며 “규제가 신산업 성장의 발목을 잡지 않도록 최소규제와 자율규제의 원칙을 지키겠다”고 역설했다. 굳이 대통령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새로운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이 꽃피우도록 자유로운 기업환경을 조성하고 기업가정신을 북돋우는 일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절박한 과제다. 여야 국회의원과 재계 수장들이 4차 산업혁명의 선도적 역할을 맡겠다며 행사장에서 서약까지 했다니 국민의 기대가 크다.
서울포럼은 법·제도와 교육, 연구개발 생태계 같은 소프트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인공지능(AI) 권위자인 다니엘라 러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 과학 및 인공지능연구소 소장이 “정책·기술 융합전문가를 육성하고 평생학습의 교육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해외 석학들이 한국에서는 관련 제도가 정비되지 않아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조차 불가능하다고 꼬집은 것은 우리에게 뼈아픈 대목이다. 본격적인 AI 시대를 맞아 낡은 제도를 과감히 뜯어고치고 사회 전반에 활력과 창조성을 북돋워야 한다는 과제를 안겨준 셈이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공 여부는 국가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좌우한다. 민간의 역동성을 최대한 살리고 기술혁신 풍토만 확산된다면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의 선두주자로 올라서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기업이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사회 시스템을 개편하고 인재를 키워야만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 목표도 달성할 수 있다. 이번 서울포럼에서 나온 소중한 제안을 바탕으로 새로운 국가발전 전략이 나오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