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건강 팁] 양치질, 잇몸·혀 같이 닦고 치실 사용을

하루 세 번, 식사 후 꼬박꼬박 이를 닦아도 충치가 생기거나 치석이 쌓인다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하지만 대부분은 제대로 양치질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식사 후 조금만 지나도 치아 표면에는 음식 세균, 즉 치태가 가득해진다. 치태 내 세균은 산성 물질을 분비하고 치아를 부식시켜 충치를 유발한다. 잇몸 염증을 일으키는 독소도 분비하는데 치은염·치주염으로 이어지곤 한다. 정확한 칫솔질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기본 요령은 칫솔을 잇몸 부위에 45도 정도로 비스듬히 잡고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의 경계 부위에 댄 후 작은 원을 그리듯이 닦으면서 치아와 잇몸의 경계 부위인 도랑 내 플라크를 제거하는 것이다. 윗니를 닦을 때는 윗니의 잇몸에서 아래로, 아랫니는 잇몸에서 위로 원을 그리며 닦아준다. 잇몸까지 같이 닦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치아의 입천장이나 혀 쪽은 각별히 신경 쓰지 않으면 깨끗해지지 않으니 주의를 기울이자.

관련기사



칫솔은 칫솔모가 잇몸에 완전히 닿을 수 있도록 사용한다. 앞니 부위는 칫솔모가 치아 안쪽을 향하도록 하고 어금니 부위는 칫솔을 깊숙이 넣어 잇몸이 최대한 닦이도록 한다.

꼼꼼히 양치질해도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이 깨끗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치간 칫솔과 치실을 사용하자. 치간 칫솔은 치아 사이에 끝부분을 넣고 조심스레 앞뒤로 움직이면서 음식물과 플라크를 제거한다. 잘 들어가지 않는다고 억지로 넣지 말고 작은 크기의 치간 칫솔로 바꾸거나 치실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 치실은 앞뒤로 살살 왔다 갔다 하면서 치아 사이로 넣어야 한다. 간혹 피가 묻어나올 수 있는데 정상적인 일이므로 놀라지 않아도 된다. 치실을 사용하면 치아 사이가 벌어질까 걱정하는데 실이 얇게 퍼지며 치아 사이를 통과하기 때문에 치실로 틈새가 벌어지지는 않는다. /도움말=서울아산병원 치과 김영성 교수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