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월호 휴대전화 2대 복구…“꼭 연락해야 돼”

침몰 당일 오전 9시 47분, 10시 1분까지 정상작동

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세월호에서 발견된 휴대전화라며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사진. /사진=안민석 의원 페이스북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세월호에서 발견된 휴대전화라며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사진. /사진=안민석 의원 페이스북




“꼭 연락해야 돼”, “해경이 경비정 투입했대. OO야 죽으면 안 돼 꼭 살아있어야돼”, “OO야 헬기 탔어???”(희생자 A씨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복구 내용)


세월호 선체에서 나온 휴대전화 2대가 복구됐다. 휴대전화에 남겨진 읽지 못한 수신메시지는 당시의 급박한 상황을 짐작케 했다.

관련기사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제1 소위원회는 26일 오전 목포 신항 사무실에서 열린 소위원회에서 전문복원업체인 모바일랩이 작성한 휴대전화 2대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보고서를 공개했다. 희생자 A씨 휴대전화에서는 전화번호부(255건), 통화목록(4,142건), 문자메시지(2,952건), 카카오톡(3만1,895건), 사진(14만2,162장), 영상(8개), 음성(409개) 등 데이터가 복구됐다. 이 기기의 최종 정상 작동 시각은 2014년 4월 16일 오전 10시 1분이었다. 침몰 당시 휴대전화 위치를 토대로 해당 구역 침수 시각을 추정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휴대전화 사용자는 오전 9시 29분까지 메시지를 확인했다. 모바일 랩 측은 “이후 휴대전화를 분실했거나 휴대전화에서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오전 10시 1분 마지막으로 수신된 메시지는 “나왔어? 다른 사람 핸드폰으로라도 연락해줘”였다.

다른 휴대전화에서는 전화번호부(516건), 통화목록(8,466건), 문자메시지(5,002건), 카카오톡(4만1,646건), 사진(32만3,729장), 영상(583개), 음성(1,422개) 등의 데이터가 복구됐다. 이 기기는 최종 정상 작동 시각은 2014년 4월 16일 오전 9시 47분이었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