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소셜미디어 기업 "테러 콘텐츠 막기 위해 노력"

메이 英 총리 "런던 테러 등 극단주의 환경 제공한 인터넷 기업 책임" 발언 대응

트위터·페이스북 등 "테러 콘텐츠 제거 위한 기술 개발 및 모니터링 이어오고 있어" 항변

3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에서 벌어진 테러 이후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가 극단주의 환경이 퍼지도록 환경을 제공한 인터넷 기업들을 비판했다. 이에 구글·페이스북 등 SNS 기업들이 자사 플랫폼을 테러에 부적합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AFP=연합뉴스3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에서 벌어진 테러 이후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가 극단주의 환경이 퍼지도록 환경을 제공한 인터넷 기업들을 비판했다. 이에 구글·페이스북 등 SNS 기업들이 자사 플랫폼을 테러에 부적합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AFP=연합뉴스


구글·페이스북·트위터 등의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이 자사 플랫폼이 극단적 이념 전파의 통로라는 비판이 제기되자 반(反) 테러 환경을 만드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가 지난 3일(이하 현지시간) 런던에서 일어난 테러 사건 이후 인터넷 기업이 극단적 이념을 퍼트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4일 AP통신 및 로이터 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영국의 트위터 공공정책 책임자인 닉 피클스는 “우리는 테러와 연관된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기술을 발달시켜왔다”며 이같이 항변했다. 구글 측도 “우리는 정부 및 비정부기구와 파트너십을 갖고 테러의 도전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온라인에서 테러리스트들이 목소리를 낼 수 없도록 정부와 함께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페이스북 정책 책임자인 시몬 밀너도 성명을 통해 “우리는 테러리스트들에게 ‘적대적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기술적 인적 모니터링을 통해 페이스북에서 테러리스트들의 콘텐츠를 발견하자마자 적극적으로 제거하고 있다. 누군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긴급 상황을 인지하면 곧바로 사법당국에 이를 알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테러가 SNS나 인터넷상 정보와 연관돼있는지에 대한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메이 총리는 런던 테러 이후 이슬람 극단주의 이념이 숨을 쉴 공간을 주지 않기 위한 새로운 사이버 규제가 필요하고, 인터넷 기업은 콘텐츠에 대한 책임감을 높여야 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관련기사



지난 3일 영국 중심부인 런던 브리지에서 3명의 용의자가 차량에 탑승해 인도로 돌진한 후 행인들에게 무차별로 흉기를 휘두른 테러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테러의 배후를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인 이슬람 국가(IS)가 배후를 자처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잇따른 테러들이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극단적 이념을 습득한 자생 테러범들의 소행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