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채도시 인천’… 재정위기 ‘탈출’

2년간 2조 빚 갚아…채무비율도 30% 이하로 감소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채무비율이 가장 높은 인천시가 재정위기에서 탈출하고 있다.

13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 본청과 산하 공사·공단의 총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11조1,052억원이다.


재정난이 극심했던 2014년 말 13조1,685억원과 비교하면 불과 2년 사이 2조633억원의 부채가 감소했다.

인천시의 부채 감소는 2015년부터 벌인 ‘재정 건전화 3개년 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둔 결과로 보인다.

시는 우선 정부가 각 시·도에 나눠주는 보통교부세와 국비지원금을 악착같이 챙겼다.

인천시의 보통교부세는 2012∼2014년 3년간 총 6,567억원에서 2015∼2017년 1조3,457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국비 사업의 국비지원금은 2012∼2014년 5조1,853억원에서 2015∼2017년 7조58억원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부동산 경기 회복과 누락 세원 발굴에 힘입어 지방세 징수액은 지난해 처음으로 3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인 3조2,517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인천시는 부채 감축에 힘입어 올해 말 재정 ‘정상’ 단체 편입을 노리고 있다.

인천시는 2015년 8월 행정자치부로부터 재정위기 주의 등급을 받았는데 예산 대비 채무비율이 25% 이하면 정상 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인천시는 채무비율을 지난해 말 30.4%에서 올해 말 22.4%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상 등급을 받으면 현재 전국 시·도 중 유일하게 재정위기 주의 등급인 인천시가 재정위기를 졸업하는 셈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강도 높게 추진한 재정 건전화 대책이 효과를 거두며 안정적인 재정운영 여건이 마련되고 있다”면서 “안정된 재정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와 안전망 구축 사업에 더욱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