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익힌 숙잠’피부 검게 타는 억제 효과 탁월

‘익힌 누에’가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검게 타는 것을 막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힌 누에(숙잠)는 완전히 자라 몸속에 명주실 단백질이 가득 찬 익은 누에를 수증기로 쪄서 동결 건조한 것을 말한다.

농촌진흥청은 이현태 동의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익힌 누에’가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검게 타는 ‘흑화’를 억제하면서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으로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실험용 누드마우스에 자외선(UVB)을 이틀에 한 번씩 쪼여 주고 다양한 색상의 고치를 짓는 누에품종의 ‘익힌 누에’를 매일 일정 용량으로 먹여 실험했다.

관련기사



색차계를 이용한 피부 밝기도 측정결과 연녹색 고치를 짓는 누에품종(연녹잠)으로 만든 ‘익힌 누에’를 먹인 실험 쥐가 가장 우수한 41%의 피부 밝기도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 백색 고치를 짓는 ‘백옥잠 익힌 누에’도 비교적 우수한 30%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흑화 유발물질인 ‘멜라닌’ 색소 생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자외선만 쪼인 실험 쥐는 ‘멜라닌’이 피부조직에 과다하게 생성된 데 반해 자외선을 쪼이면서 ‘익힌 누에’를 먹인 실험 쥐는 ‘익힌 누에’ 섭취량 증가에 비례해 ‘멜라닌’이 뚜렷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지상덕 농진청 잠사양봉소재과 기술서기관은 “ ‘익힌 누에’을 지속해서 섭취할 경우 태양광에 노출되더라도 피부가 덜 검어지고 과다한 멜라닌 축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미·주근깨·잡티·검버섯 등 색소침착형 피부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