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실물가지수 4년 만에 최고, 작년보다 2배 이상 오르기도... '이른 무더위' 때문

지난해 말부터 귤, 사과, 포도 등 과일 가격이 계속 오르며 과실물가지수가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과실물가지수는 118.15로 2013년 5월(118.189)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실물가지수는 사과, 배, 포도, 귤, 딸기 등 소비자들이 자주 사 먹는 과일 15개 품목의 물가를 바탕으로 측정된다.

2015년 가격을 100으로 놓고 값을 산출하는 것.

과실물가지수는 지난해 11월만 해도 96.79로 알려졌다. 기준 연도인 2015년보다 물가가 더 쌌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101.60으로 오르고서 올해 들어서도 매달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보면 작년 10월(-1.6%) 이후 쭉 올랐다.

상승률은 지난해 11월(2.6%)부터 올해 1월(9.3%)까지 한 자릿수였다가 3월 15.3%, 4월 15.7%, 5월 19.1%로 3개월 연속 두 자릿수를 보였다.

과실 물가가 7개월 연속 상승한 것은 2013년 1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처음있는 일.


과일값이 지난해 말부터 고공 행진하는 것은 지난해 폭염 탓에 작황이 부진했기 때문.

관련기사



정부 비축물량이 풀리며 올 초 잠잠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지만 일찍 찾아온 더위에 여름 과일 수요가 늘며 물가 상승 폭이 확대되는 모양새를 보였다.

한 품목이 아니라 여러 품목의 물가가 두루 상승했다.

귤이 3∼5월 각각 106.2%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2배 이상 가격이 뛰었고 감도 올해 들어 매달 20% 안팎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포도도 올 초인 1월 12.6%, 2월 14.0% 상승률로 가격 강세를 나타냈다.

이른 더위 때문에 5월 들어 수박(17.1%), 참외(10.5%)도 과일 가격 상승세를 보였다.

문제는 올해에도 과일 가격이 안정세로 접어들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것.

최근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올여름 폭염이 다시 찾아올 가능성도 있어서로 전해졌다.

정부도 서민 물가 안정을 위해 비상사태를 맞았다.

정부는 전날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농산물 수급 안정 물량을 조기에 확보하고 7∼8월 농협을 중심으로 농·축산물 특별 할인판매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