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IST-KT, 양자통신 응용연구센터 개소

양자 암호 통신 개요도/사진제공=KIST양자 암호 통신 개요도/사진제공=K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KT는 21일 오전 수원시 한국나노기술원(KANC)에서 양자암호통신 실용화를 위한 ‘양자통신 응용연구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번 개소식은 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장준연 소장과 KT 인프라연구소 전홍범 소장, 한국나노기술원 이대훈 원장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으며, KIST에서 개발하고 KT 통신망에서 검증해 온 양자암호통신 시스템에 대한 시연회도 함께 진행됐다.


양자암호통신은 양자(퀀텀)를 통신매체로 적용하여 현재의 도청 기술뿐만 아니라, 미래기술에 의한 통신상의 도청 시도를 원천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보안통신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완벽한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으나, 실제 경우에는 통신 부품들이 갖는 불완전성으로 인해 양자암호통신도 해킹될 수가 있다. 이를 양자해킹이라 하며, 양자해킹은 양자 암호통신의 실용화를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다.

관련기사



‘양자통신 응용연구센터’는 양자정보통신 실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양자해킹 방지기술 연구, 양자암호통신 구조 설계 및 적용 사례 발굴 등을 추진하게 된다. KIST 양자정보연구단은 양자 기술 영역에서, KT는 양자암호 기술의 상용 네트워크 적용 및 새로운 서비스 모델 발굴 분야에서 전문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시너지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KIST는 2005년 국내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시스템을 실험실 환경에서 개발한 바 있으며, 2013년 국제양자암호학회인 Qcrypt 2013에서 양자암호통신 시스템을 시연했다. 이어 2016년에는 KT 유선망에서 주야간, 계절 간 환경 변화에 따른 현장 검증을 완료하였으며, 장시간 연속 동작을 통해 실제 통신망 환경 변화가 양자암호시스템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바 있다.

KIST 연구책임자인 문성욱 단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양자암호통신의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양자암호통신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성욱(왼쪽)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양자정보연구 단장과 한상욱 박사가 양자암호통신기술에 대한 점검을 하고 있다./사진제공=KIST문성욱(왼쪽)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양자정보연구 단장과 한상욱 박사가 양자암호통신기술에 대한 점검을 하고 있다./사진제공=KIST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