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中 "북핵 관련 유엔 안보리 제재 기업과 거래 금지 합의"

양국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첫 외교안보대화

'완벽하고 검증가능하고 되돌릴 수 없는' 한반도 비핵화 재확인

미·중 양국은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첫 외교안보대화를 열고 북핵 프로그램으로 인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명단에 오른 기업들과 자국의 기업들의 거래를 금지하는 방안에 합의했다./연합뉴스미·중 양국은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첫 외교안보대화를 열고 북핵 프로그램으로 인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명단에 오른 기업들과 자국의 기업들의 거래를 금지하는 방안에 합의했다./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21일(현지시간) 북핵 프로그램 억제 방안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명단에 오른 기업들과 자국의 기업들이 거래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이날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양국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첫 외교안보대화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미국 측은 렉스 틸러슨 국무부 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 중국 측은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팡펑후이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이 참석했다.

틸러슨 장관은 회의를 마치고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모든 유엔 안보리 관련 해법을 전적으로 충실히 이행하도록 노력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미국은 중국이 역내 북핵 위기의 상승을 방지하려면 북한 정권에 훨씬 더 큰 경제적·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거듭 중국 측에 강조했다”고 말했다.


특히 틸러슨 장관은 북한이 돈세탁, 외화벌이, 사이버 공격 등을 통해 북 핵 프로그램에 자금을 조달했다고 언급하며 “미국은 중국이 역내 북핵 위기의 상승을 방지하려면 북한 정권에 훨씬 더 큰 경제적·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거듭 중국 측에 강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미국과 중국은 회의에서 ‘완벽하고 검증할 수 있고 되돌릴 수 없는(CVI)’ 한반도 비핵화를 추구한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북한에 대해서는 불법 핵무기 프로그램과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도발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양국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IS(이슬람 국가) 격퇴전을 포함한 테러 근절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