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민주당, 야권 균열에 '3당 3색' 전략으로 반전 노린다

'조작사건' 국민의당 협조 유도

새 지도부 바른정당엔 구애 손길

'추경심사 거부' 한국당은 무시

추미애(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오전 국회 대표실을 방문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포옹하고 있다. /연합뉴스추미애(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오전 국회 대표실을 방문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포옹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소야대 정국 속에서 집권여당으로서의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던 더불어민주당이 야당발 대형 악재와 지도부 교체를 계기로 반전을 노리고 있다. 민주당은 야권 분열의 기회를 틈타 야 3당이 처한 상황별 맞춤형 대응 전략으로 정국 주도권을 되찾겠다는 계산이다.

민주당은 먼저 ‘문준용 특혜 취업 의혹 제보 조작’ 파문으로 위기에 내몰린 국민의당을 겨냥한 공세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추미애 대표는 2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당이 대선 기간 저지른 끔찍한 정치공작의 실체가 드러났다”며 이번 사건을 ‘대선공작 게이트’로 규정했다. 추 대표는 “박근혜 정권에 강탈된 민주주의와 국민주권 회복을 위해 촛불을 들었던 국민의 진심 어린 염원을 짓밟은 도적질”이라며 맹공을 퍼부었다. 이날 민주당 지도부도 안철수 전 대표의 직접 해명을 촉구하는 동시에 ‘대선 농단’과 ‘유신잔재의 부활’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국민의당을 압박했다.


민주당이 연일 압박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것은 인사청문회와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주요 현안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고 있는 국민의당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국민의당은 내부에서조차 안철수 책임론까지 불거지면서 당내 갈등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민주당으로서는 수세에 몰린 국민의당을 강하게 압박해 추경 처리와 인사청문회 등에서 협조를 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반면 새 지도부가 출범한 바른정당을 향해서는 구애의 손길을 보내고 있다. 지난 26일 선출된 이혜훈 신임 대표가 전임 지도부에 비해 국회 운영에 있어 무조건적 반대보다는 합리적 판단을 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선출 직후 “사사건건 반대하는 발목 잡는 정치는 하지 않겠다”면서 정부여당에 전향적으로 협조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에 반해 자유한국당에는 전혀 상반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과 여당의 호소에도 한국당이 내각 인선과 추경, 정부조직법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만큼 노선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반쪽 추경’이라는 비판을 무릅쓰고 한국당을 제외한 채 국민의당·바른정당과 추경 심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