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북핵 동결이 대화의 입구, 폐기가 출구"

"핵동결 보상안 긴밀 협의"

우리 기업인들과 차담회

"나는 친노동이면서 친기업"

문재인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방미 첫 일정으로 버지니아주 콴티코에 위치한 해병대 국립박물관을 찾아 ‘장진호 전투 기념비’를 살펴보고 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한미동맹은 전쟁의 포화 속에서 피로 맺어졌다”며 “더 위대하고 더 강한 동맹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방미 첫 일정으로 버지니아주 콴티코에 위치한 해병대 국립박물관을 찾아 ‘장진호 전투 기념비’를 살펴보고 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한미동맹은 전쟁의 포화 속에서 피로 맺어졌다”며 “더 위대하고 더 강한 동맹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북한이 핵 동결 정도는 약속해줘야 이후 폐기를 위한 대화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핵 동결이 대화의 입구이고 그 대화의 출구는 완전한 핵 폐기”라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을 대화로 유도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문 대통령은 “철저한 검증 속에서 북한 핵 동결에 한미가 무엇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한미가 긴밀히 협의해야 한다”면서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 같은 방안에 대해 긴밀한 협의가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핵 동결 등 전향적 조치를 취한다면 한미가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하고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완전한 핵 폐기와 한반도 평화를 달성한다는 구상이다.


문 대통령은 다만 “북한의 핵 동결과 한미 간 군사훈련은 연계될 수 없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며 “그 입장에는 아직 달라진 바가 없다”고 못 박았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양국 간 이익의 균형이 잘 맞춰져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한미 FTA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면 언제든지 경제대화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저녁 양국 상공회의소가 공동 개최한 ‘한미 비즈니스 서밋’에 앞서 우리 기업인들과 차담회를 열어 “기업인들께서 저를 친노동 쪽이다 이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맞는다”면서 “하지만 한편으로 기업 고문변호사도 오랫동안 많이 했다. 저는 친기업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사회가 친기업·친노동이 돼야 한다. 기업과 노동이 상생할 수 있는 사회가 돼야 우리나라가 진짜 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DC=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