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정상회담 직전 독자적 대북 제재 확대

中단둥은행 ‘돈세탁 우려기관’ 첫 지정…대중 압박 고삐

므누신 재무 "北에 가는 모든 자금 차단…성역은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9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바로 앞두고 북한을 지원한 중국의 은행과 기업, 개인에 대한 독자제재에 나서며 대북 제재를 확대해 주목된다.

미 재무부는 이날 중국 단둥은행을 돈세탁 우려기관으로 처음 지정하고 미국과 이 은행 간 거래를 전면 중단시킨다고 발표했다. 이와함께 북한과 거래한 리홍리(53), 순웨이(35) 등 중국인 2명과 다롄 국제해운 등 기관 1곳을 대북 제재명단에 추가로 올렸다고 밝혔다.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독자적인 추가 대북제재 조치들을 발표한 후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UPI연합뉴스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독자적인 추가 대북제재 조치들을 발표한 후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UPI연합뉴스


미국이 지난해 5월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 대상국으로 지정한 이후 미 애국법 311조에 따라 관련 은행을 돈세탁 우려 기관으로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가에선 단둥은행에 대한 이번 제재가 미국뿐 아니라 제3국의 거래 중단 효과도 유발해 단둥은행이 사실상 제2의 BDA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미국은 2005년 9월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의 북한 정권 계좌를 동결했고, 특히 제3국 기관의 BDA 거래 중단도 유도함으로써 북한 정권을 전방위로 압박해 큰 효과를 봤다.

므누신 장관은 “단둥은행 규제는 이 조치(북한의 자금세탁 우려 대상국 지정)에 따라 중단시킨 첫 은행이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며 “계속해서 이러한 행위를 찾아서 제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번 제재가) 중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면서 “이번 조치는 중국이 아니라 중국의 개인과 단체에 대한 제재”라고 규정했다.

므누신 장관은 “(북한과 거래하는)그들이 중국에 있든, 다른 곳에 있든 간에 우리는 제재를 계속할 것”이라며 “성역은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적절하게 행동할 때까지 돈줄 차단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하다”고 전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