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차벽 없애고 살수차 NO...달라진 '인권 경찰'

질서 유지·교통정리에 주력

30일 차벽이 사라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경찰들이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30일 차벽이 사라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경찰들이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 정부 출범 이후 ‘인권 경찰’을 강조해온 경찰이 집회 관리에서도 이전과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3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민주노총 사회적 총파업 집회에서 경찰은 시위 진압보다는 질서 유지와 교통 소통에 집중하고 위압감을 줬던 장비들도 배치하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대규모 도심 집회였던 이날 집회에서 먼저 눈에 띈 점은 경찰이 차벽을 설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경찰은 현 정부 출범 후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겠다는 기조를 세우고 차벽을 없앴다.


살수차를 배치하지 않은 점도 달라진 모습이다. 지난 2015년 11월 민중총궐기 대회 때 고 백남기 농민이 물대포에 맞고 쓰러진 뒤 살수차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경찰은 지난 5월 집회·시위 현장에 원칙적으로 차벽과 살수차를 배치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관련기사



현장에 배치된 경찰 가운데 진압 등을 위한 경비경찰보다 교통경찰의 비율이 늘어난 것도 이전과 달라진 점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집회에는 75개 중대 6,000명의 경찰이 투입됐는데 교통 소통에 중점을 두는 차원에서 교통경찰의 비중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집회 현장을 둘러싸지 않고 질서 유지와 교통정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만 배치했고 나머지 병력은 현장과 거리를 두고 대기하기도 했다.

집회 참가자들에 대한 경찰의 작은 배려들도 엿보였다. 광화문 집회에서 한 여성 참가자가 화장실을 찾기 위해 두리번거리자 한 경찰이 다가가 인근의 가까운 화장실들을 안내해주기도 했다.

또 지방에서 올라온 한 참가자가 생수를 살 수 있는 곳을 찾자 경찰이 현장 부근에 있는 편의점을 알려주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김정욱·최성욱기자 mykj@sedaily.com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