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께 수주 실적이 완전히 바닥나는 성동조선에 대해 채권단이 실사에 착수하면서 회사의 생사 여부가 기로에 놓이게 됐다.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은 지금까지 성동조선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은 없다는 점을 명백히 한 만큼 성동조선이 생존을 위해서는 영업이익을 내기 위한 몸집 축소 등의 추가 자구 노력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6일 채권단에 따르면 성동조선은 지난 2014년 3,395억원의 영업손실, 2015년 87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다 지난해 겨우 391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최근 신규 수주에도 성공했지만 안심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최근 7척의 수주 역시 1년 8개월여 만의 첫 수주였다.
채권단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비용구조다. 한 예로 1,450명에 달하는 성동조선의 인건비 감축 없이는 아무리 수주를 해도 이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금과 같은 인건비 규모로는 고정비로 새 나가는 돈이 많아 중국 등과 수주 경쟁을 뚫고 수주를 해도 남는 장사를 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업황 역시 불투명하다. 수은 해외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상반기 시장은 전년대비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모든 선종에 걸쳐 극심한 부진이 나타나고 있어 정상적인 시장상황은 아니다”라며 “하반기에도 시장 불확실성은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수주가 조금 살아나고는 있지만 대세 상승세인지는 좀 더 확인할 필요하다”며 “1분기 정도 시간을 두고 조선 업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최근 수주한 신규 선박에 대한 선수금환급보증(RG)을 발급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실사 결과 성동조선의 청산 가치가 더 높다는 결과가 나오면 국내 중소 조선사에 대한 본격적인 구조조정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채권단 관계자는 “현재 채권단은 유지·청산 등 어느 한쪽으로도 방향을 설정하지 않고 있다”며 “남은 선박 인도 이후 수주가 이뤄질 것인지 등 종합적인 평가를 해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지난해 금융당국이 중소조선사가 유동성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면 처리 방안을 원점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만큼 부정적인 평가가 났을 때 채권단이 다시 나서 추가 자금을 투입할 가능성은 낮다. 올 들어 선가가 지속 하락하고 유가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조선소 경영환경이 더욱 악화될 수 있어 채권단이 더 이상의 자금 지원으로 성동조선을 끌고 갈 이유도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실사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그동안 성동조선의 실사보고서가 과도하게 낙관적이었다”고 지적받은 후 이뤄지는 첫 실사라는 점도 결과에 관심을 끈다. 그동안 느슨한 실사보고서로 추가 지원이 이뤄져 온 데 대한 책임론도 일었던 만큼 채권단의 이번 실사는 어느 때보다 보수적인 평가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금융권 및 조선 업계의 관측이다. 성동조선이 최근 자구 계획 이행을 위한 노사확약서를 제출하면서 급한 불이던 신규 선박 수주에 대한 채권단의 RG 발급이 풀렸지만 정밀실사라는 높은 문턱까지 넘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채권단 관계자는 “채권단이 우려하는 부분은 과연 불확실한 조선 경기를 뚫고 생존을 이어갈 수 있을 정도의 자구 계획을 이행할 것이냐의 여부”라며 “추가 감원 등을 통해 미니 조선소로 생존이 가능하겠지만 현재와 같은 사이즈로는 (생존이)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