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성공적인 인공관절 수술, ‘수술 정확성’과 수술 후 ‘꾸준한 재활 운동’에 달렸다



최근 연골이식술, 줄기세포 치료 등 관절염을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연골 회복 치료들은 연골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 관절염 초·중기에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골이 다 닳아 뼈끼리 맞닿는 퇴행성 관절염 말기는 관절 자체를 인공관절로 교체해야 근본 원인을 치료할 수 있다. 무릎 통증으로 밤에 잠을 이루기 어렵거나, O자형 휜 다리(오다리)변형이 심해 보행이 어려운 65세 이상의 고령은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인공관절 수술은 인공관절로 관절 기능을 대신하는 치료지만, 말기 퇴행성 관절염을 가장 완벽하게 고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관절 수술 기법의 개발로 수술의 정확성이 향상돼 고령의 환자들도 부담 없이 치료할 수 있다. 첨단 ‘3D프린터’ 기술과 정형외과 전문의의 풍부한 임상경험이 적용된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미세한 수술 오차까지 줄여 정밀하고 정교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환자 맞춤형 수술도구’ 이용한 수술 정확성 향상, 차후 인공관절 수명 향상 기대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의 핵심은 ‘맞춤형 수술 도구’를 제작해 수술에 이용하는 점이다. 수술 도구(Patient Specific Instrument:PSI)는 수술 전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정확한 인공관절 위치에 맞게 설계된 후, 3D 프린터로 출력된다. 출력된 수술 도구를 실제 인공관절 수술 시 ‘가이드(Guide)'로 사용함으로써, 기존 수술보다 단축된 시간 내에 정확한 수술을 이룰 수 있다. 수술시간이 줄면 출혈이나 감염, 합병증의 위험을 줄여 고령의 환자에게 안정적이다. 고관절부터 무릎, 발목에 이르는 하지 정렬이 정확히 맞아, 인공관절의 수명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수술 도구는 인공관절 수술의 정확성을 높이는 역할로,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강남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연구센터가 활발한 연구·개발을 통해, 자체 맞춤형 수술도구 및 설계기술을 개발했다. 자체 기술력은 기존 수술 도구를 보완하여 수술의 안정성을 높인 디자인으로, 국내 최초로 2건의 특허를 받았다.


강남 연세사랑병원 관절센터 탁대현 진료소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환자 맞춤형 수술 도구는 인공관절이 가장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가 되기 때문에 수술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확히 이룰 수 있도록 돕는다”며 “실제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해외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학술지 2015년 11월호에 게재된 임상 연구를 통해, 하지 정렬의 정확도 향상과 수술 시간 단축의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정확한 수술 이어 꾸준한 재활 운동, 관절 회복 앞당겨 건강한 인공관절 유지 도와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에서 수술의 정확성만큼이나 중요한 요소가 한 가지 더 있다. 바로 수술 후의 ‘꾸준한 재활운동’이다. 수술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수술 후 꾸준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인공관절의 적응 과정이 느려져 회복이 늦어질 수 있다. 자기 관절이 아닌 인공관절을 이식한 만큼, 인공관절의 정확한 삽입과 함께 수술 후의 재활 운동이 필수적이다.

특히 인공관절 수술 환자는 무릎 관절이 120도 이상 굽힐 수 있도록 무릎 관절 운동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를 넓히는 운동은 인공관절의 적응을 돕고, 무릎을 구부리거나 뻗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허벅지 근육(대퇴사두박근)은 인공관절을 보호하며 무릎을 안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간단하게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펴고 구부리는 동작을 통해 허벅지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체중부하가 되지 않으면서 근력을 높일 수 있는 운동으로 평지 걷기와 자전거 타기, 물속에서 걷는 운동 등이 있다.

강남 연세사랑병원 관절센터 탁대현 진료소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정확한 인공관절 수술에 이어 꾸준한 재활운동의 병행은 인공관절이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돕고, 관절의 운동범위를 넓혀 통증을 줄이고 관절의 기능을 빠르게 회복하도록 돕는다”며 “꾸준한 운동을 통해 인공관절을 보호하는 힘을 높이면, 차후 건강한 인공관절로 활동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본원의 경우 재활 운동이 인공관절 수술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전문 스포츠 재활센터를 통해 체계적인 맞춤형 재활운동을 제공하여 관절의 빠른 회복을 돕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