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매물로 나온 '푸에르토리코'

구제금융도, 미국 주 편입도 난항

푸에르토리코 국기 /위키피디아푸에르토리코 국기 /위키피디아


파산 상태에 놓인 미국 자치령 푸에르토리코가 핵심 기간시설 매각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푸에르토리코 자치정부가 수도 산후안의 항구 운영권을 포함한 사회간접자본(SOC) 운영권을 매각하기로 하고 민간투자자를 물색 중이라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푸에르토리코가 매각하려는 SOC에는 공항 운영권, 페리선 운영권, 교통벌금 징수권, 공영주차장 운영권도 포함된다. 전력 및 수도 시스템, 폐기물 관리권 등도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푸에르토리코는 민간에게 10년 이상 운영권을 보장하고 새로운 인프라 구축도 허가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올 여름철 5억 달러(약 6,000억 원) 이상의 투자가 이뤄지고, 10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푸에르토리코가 핵심 SOC를 매각하려는 것은 심각한 재정위기 때문이다. 푸에르토리코의 부채는 730억 달러에 달한다. 500억 달러의 연금 미지급액까지 더하면 총부채가 1,200억 달러를 넘는다. 미 정부기관의 파산 규모로는 최대 규모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푸에르토리코에 대한 구제금융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하는 방안도 쉽지 않다. 최근 주민투표에서 압도적 찬성을 얻었지만, 구속력이 없는 데다가 미국 의회 승인과 대통령의 추인을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