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G20 정상회의 ‘기후변화·자유무역·북한대응’ 논의 절충

관전 포인트 2가지… ‘트럼프-푸틴 만남’·‘트럼프vs非트럼프’

G20 정상회의 참석 위해 함부르크 도착한 문재인 대통령. /함부르크=연합뉴스G20 정상회의 참석 위해 함부르크 도착한 문재인 대통령. /함부르크=연합뉴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독일 함부르크에서 이틀간 일정으로 7일(현지시간) 개막한다.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80%, 교역의 75%, 인구 3분의 2를 점하는 국가의 정상들은 이번 회의에서 ‘상호 연계된 세계 구축’을 주제로 정책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로 국제사회의 경계심이 커진 것을 계기로 북한 문제의 우려와 경고 표명을 논의 테이블에 올릴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회담에서 “북한 미사일의 심각성을 고려해 회원국의 공동결의를 담아내기 위한 의장국으로서 관심을 보여 주기 바란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메르켈 총리는 “G20의 모든 국가가 동의하면 공동성명 채택도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모든 회원국이 이 문제를 논의했다는 내용과 유엔 결의 및 그 조치에 따라야 한다는 정도의 내용을 의장국 성명에 기술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수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북한 문제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유엔 안보리에 맡기되 G20은 원칙적 입장에서 공동의지를 표명하는 정도면 충분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는 ‘기후변화’와 ‘자유무역 태도 정립’이 되리라고 언론들은 내다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앞서 파리기후협정 탈퇴를 선언한 바 있다. 독일을 비롯한 대다수 참가국이 협정 이행을 찬성하는 상태라 트럼프 대 비(非) 트럼프의 구도 싸움이 치열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미국이 협정 이탈을 통해 입장을 밝힌 만큼 모든 국가의 합의 도출을 전제로 저마다 적절하게 기후변화에 대응한다는 절충이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기사



의장인 메르켈 총리의 리더십도 주목된다. 메르켈 총리는 6일 정상회의에서 이견을 해소할 옵션들이 있다면 타협책을 찾아내는 것이 의장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자유무역과 관련해서도 자유무역과 개방경제를 주장하는 메르켈 총리와 달리, 공정에 방점을 찍은 트럼프 대통령과 부딪칠 소지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역조 시정을 ‘공정’으로 표현하면서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보인다. 일각에선 자유무역의 걸림돌 제거에 총력을 기울인다든지, 반(反) 자유무역에 저항하는 등 최대치의 명시적 언급을 합의 문구로 채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메르켈 총리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2위 국가인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3위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등을 우군 삼아 자유무역 결의 수준을 높이려 하고 있다. 한편 GDP 1등 국가인 미국이 고립과 보호무역주의로 기울면서 더는 중국과 일본이 온전히 의지할만한 상대가 아닌 처지에 놓였다는 것이다.

.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