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장사의 신’ 책맥 김진아·김진양 대표, 동네서점의 기막힌 변신

‘장사의 신’ 책맥 김진아·김진양 대표, 동네서점의 기막힌 변신




7일 방송되는 KBS1 ‘장사의 신 - 골목의 혁신가들’에서는 ‘동네서점의 변신, ‘책맥’을 아십니까 - 김진아 · 김진양 대표‘ 편이 전파를 탄다.


대한민국 성인들이 1년 동안 구입하는 책, 평균 3.7권. 이마저도 대형 서점이나 인터넷 서점을 통해 구매하는 현실. 2005년 2,887개에서 2015년 1,487개 로10년 동안 반으로 줄어버린 동네 작은 서점들(2015년 한국서점조합연합회 통계 기준)

이런 서점가의 불황 속에 과감히 서점 창업에 뛰어든 자매가 있다. 대형서점의 100분의 1 규모에서 시작된 ‘독립 책방’. 기존의 서점 형태를 과감히 벗어나 책만 팔던 공간에서 책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동네 서점.



이 시대의 동네 서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두 대표의 성공 비결을 알아본다.

▲ 주변 골목 상권과 공생하며 서점의 무한 변신을 꿈꾸는 동네 서점

대형 서점과 온라인 도서 판매로 인해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작은 동네 서점.

이런 상황 속에서 다니던 대기업에 과감히 사표를 던지고 동네 서점을 차린 용감한 자매가 있다. 모두가 의아해했던 이 자매의 창업은 맥주를 파는 서점, 이른바 ‘책맥’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고 작가와의 만남, 라이브 공연, 주변 상권들과 협업을 맺는 등 서점의 수많은 변신을 이루어내며 ‘성공한 동네 서점’으로 알려지게 됐다.


▲ 성공한 가족 동업, 김진아ㆍ김진양 자매 대표

관련기사



흔히 가족, 친구 등 지인과 동업을 하면 안 된다는 인식이 많다. 하지만 두 자매 대표는 서울 상암동에 하나씩 서점 운영을 맡았을 때도 선의의 경쟁을 펼치며 상생 효과를 거두었고 나아가 주변 상권과 더불어 각 분야의 여러 업체들과 협업을 맺으며 공생의 길을 걷고 있다. 두 대표에게 있어서 주변 사람들은 경쟁자가 아닌 협업자다.

“그냥 시간이 조금 걸릴 뿐, 잘 될 수밖에 없다는 확신은 둘이었기 때문에 그랬던 것 같아요”

- 김진양 공동대표

▲ 서점의 한계란 없다, 수많은 도전 그리고 주변 사람들

서점은 사업 특성상 오프라인 사업이지만 IT 관련 회사를 다녔던 김진아ㆍ김진양 두 대표는 서점의 한계를 규정짓지 않고 SNS, 블로그 등을 홍보는 물론 손님과의 즉각적인 소통의 장으로 활용했고 대형 서점은 물론 일반 동네서점과의 차별화를 두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다.

두 대표의 최신 트렌드를 읽는 눈과 끊임없이 새로운 발상에 대한 노력은 책과 맥주의 만남, 출판사나 대형서점에서만 간혹 있었던 독자와 작가와의 만남을 자신들의 서점에 마련했다. 또 직장인을 자신들의 주요고객으로 설정하고 책을 선정하고 배열해 서점을 단순히 책을 파는 공간이 아니라 퇴근하는 직장인들의 편안한 휴식처이자 여가 생활의 공간으로 만들었다.

“당연히 돈도 벌어야 되지만 쭉 서점을 운영하다 보니 이 동네 사시는 분들, 직원들, 서점에 방문하는 분들이 지금 뭘 필요로 하시는지 그게 저희로서 더 중요한 가치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 김진아 공동대표 -

[사진=KBS 제공]

/서경스타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