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계 원자력 전문가들 "한국 탈원전 국제 흐름 역행"

"중동 등 정세 불안지역에 의존...에너지 수급 불안정"

"독일 여전히 화력발전...탈원전 성공사례 아니야"

정부에 의해 건설이 임시적으로 중단된 신고리 5·6호기의 모습./연합뉴스정부에 의해 건설이 임시적으로 중단된 신고리 5·6호기의 모습./연합뉴스


세계 원자력 전문가들이 한국의 갑작스러운 ‘탈(脫) 원전 정책’에 우려를 나타냈다.

7일 대전에서 열린 ‘세계원자력대학(WNU) 세계원자력산업 핵심 이슈 과정’의 특별강연을 위해 방한한 이들은 최근 한국의 탈원전 정책이 국제 사회 흐름에 역행한다고 주장했다. 서지 골린 세계원자력협회(WNA) 산업협력국장은 이날 한국원자력연구원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전을 폐쇄하면 전력가격이 상승하고 산업경쟁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원전 수출에도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이 지난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전을 수출할 만큼 기술이 발전한 상황에서 원자력 발전을 줄이는 것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골린 국장은 이어 “세계 각국은 탄소 감축을 위해 원자력 비중을 늘리는 쪽으로 가고 있다”며 “원자력을 포기할 경우 중동과 같은 정세 불안 지역에 의존함으로써 에너지 수급이 불안정해질 것이고 기후변화 공약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밀턴 카플란 세계원자력협회 경제실무그룹 의장도 “캐나다는 수력, 천연가스, 풍력 등 천연자원이 많은 혜택받은 나라이지만 원자력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는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50년간 화력발전 비율이 30%에 달했지만, 화력은 환경오염 문제 때문에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보고 원자력 발전에 집중했다”며 “그 결과 북미지역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사상 최대로 감축하는데 기여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아벨 곤잘레스 아르헨티나 원자력규제위원회 수석자문관은 한국이 탈원전의 모델로 삼고 있는 독일이 좋은 성공사례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 결과 북미지역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사상 최대로 감축하는데 기여했다”며 “독일은 여전히 유럽연합(EU)에 에너지를 의존하고 있으며 화력발전으로 인해 지난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년보다 증가하기도 했다”며 한국의 탈원전 정책의 재고를 당부했다./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