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한미일 "군사옵션 외 대북 최대 압박"

3국 정상회담 합의

안보리 결의안 신속 도출

北 감내 못할 압박 나서기로

美 "北거래 中기업 추가제재"

문재인(왼쪽부터)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6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시내 미국영사관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만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왼쪽부터)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6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시내 미국영사관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만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미국·일본 3국 정상들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거듭하는 북한에 대해 제재와 압박의 강도를 한층 높이기로 했다. 국제적 다자제재뿐 아니라 3국들이 각각 양자 차원의 대응수위도 강화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미국영사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3국 정상 만찬 회동을 갖고 이 같은 방향에 합의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만찬 회동 후 언론 브리핑을 통해 “북핵 문제와 관련해 3국 정상은 보다 강력한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신속하게 도출해내서 북한에 대해 이전보다 훨씬 강화된 압박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한미일 간 굳건한 공조를 바탕으로 중국·러시아 등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의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결국 최대의 압박을 통해 북한이 경제적으로 더는 감내할 수 없는 상황이 오도록 해 비핵화 테이블로 나오게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3국 정상들은 이 자리에서 북핵 및 탄도미사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의 역할이 긴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관련기사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과 개인에 대한 추가 금융제재를 가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에 적용됐던 ‘세컨더리보이콧(제재 대상 국가와 거래한 제3국 기업들을 일괄 제재하는 것)’을 직접 지칭하지 않았으나 그에 준하는 제재 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3국 정상들은 북한에 대한 군사적 대응은 이번 압박 및 제재 옵션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강 장관도 “오늘 회동에서는 군사적 옵션 이야기는 없었다”고 전했다./함부르크=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