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끈질긴 손발톱 무좀...'나았겠지'하다간 또 근질

절반 이상이 완치 전에 중단

손발톱 새로 자라날 때까지

6~12개월 꾸준히 치료해야

발 자주 씻고 건조하게 유지

수건 별도 사용 등 관리 중요

장마와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8월은 무좀이 세력을 확장하기 좋은 시기다. 무좀은 연간 250만여명이 진료를 받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손발톱 무좀의 경우 6~12개월 이상 꾸준히 치료해야 하는데 증상이 조금이라도 나아지면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아 재발하기 쉽다.


무좀은 피부사상균 같은 곰팡이가 피부 바깥층인 각질층이나 손발톱 등에 감염을 일으켜 발생한다. 이 곰팡이는 각질을 영양분 삼아 기생하는데 땀이 많이 나서 습기가 차고 통풍이 잘 안 되는 환경을 가장 좋아한다.

발생 부위는 손발톱(47%)이 가장 흔하고 발가락·발바닥(31%), 몸통(13%), 머리·얼굴·사타구니·손(9%) 순이다.

발 무좀은 발가락 사이나 옆·발등 쪽으로 피부가 짓무르고 갈라지거나 하얗게 각질이 일어나고 발바닥이 두꺼워지면서 증상이 악화된다. 초기에는 연고만 발라도 증상이 좋아진다. 웬만큼 나은 것 같아도 2~3주간 연고를 더 바르는 게 재발을 확실히 막는 방법이다. 진물이 나는 경우에는 약물에 발을 담가 진물을 없애는 치료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심한 경우에는 먹는 무좀약을 처방받는 경우도 있다.

발·손 무좀을 방치하면 손발톱 등 다른 부위로 번지기 쉽다. 손발톱 무좀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손발톱이 조금씩 두꺼워지고 하얗게 또는 황갈색으로 변한 뒤에야 무좀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곰팡이가 손발톱을 파고 들어가 살기 때문에 일반 무좀에 비해 치료가 힘들다. 무좀으로 갈라진 피부를 통해 균이 들어가 급성 염증이나 2차 감염까지 생기면 발가락·발등이 붓고 진물이 나거나 통증을 동반할 수 있다.

하지만 병·의원에서 손발톱 무좀 치료를 받는 사람은 많지 않다. 대한의진균학회의 설문조사 결과 무좀 추정환자 중에 치료를 받는 환자가 15%에 그칠 정도로 실제 치료율은 적은 편이다. 치료환자 중에서도 55%가 완치 판정을 받기 전에 치료를 중단했을 정도로 ‘완전한 무좀 탈출’도 쉽지 않다. 증상이 개선됐다고 판단하고 임의로 그만두거나 불편하고 귀찮다는 이유에서 진료를 안 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손발톱 무좀은 곰팡이가 제거되고 손발톱이 새로 자라날 때까지 꽤 시간이 필요하다. 실제로 손톱은 6~9개월, 발톱은 12개월 정도 꾸준히 치료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무좀 증상이 있는 사람 10명 중 7명은 약국에서 무좀 연고 등을 사서 바르거나 민간요법을 쓰거나 심할 경우에는 방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고현창 부산대 의대 피부과 교수(대한의진균학회 홍보이사)는 “손발톱이 두꺼워지거나 색깔이 탁해지면 무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검사를 해보면 30~40%는 손발톱이 변성되거나 떨어져 나가는 이영양증·박리증·건선 등 다른 질환 때문”이라며 “피부과 전문의로부터 무좀인지 아닌지 정확한 검사·진단부터 받는 게 올바른 치료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꾸준히 치료하면 무좀 곰팡이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고 전문의들은 강조한다. 먹는 약은 50%, 연고는 8~15% 수준의 박멸률을 갖고 있다. 최근 동아에스티가 수입 판매를 시작한 바르는 ‘주블리아(외용액)’는 먹는 약 수준의 약효를 가졌을 정도로 약의 효능도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먹는 무좀약은 약효가 좋지만 신경안정제(미다졸람 등)·고지혈증약(심바스타틴 등)과 함께 복용할 경우 약의 혈중 농도가 높아져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만큼 의사와 상의해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간독성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도 필수다. 무좀약을 먹지 못하는 환자 등은 연고·외용액과 함께 보조요법으로 레이저 치료를 통해 열에 약한 곰팡이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무좀에 걸리지 않으려면 예방도 중요하다. 발을 자주 씻고 잘 말리는 것은 기본, 통풍이 잘되고 편한 신발을 신는 게 좋다. 수영장·공중목욕탕이나 집 화장실의 발수건·슬리퍼 등에는 곰팡이가 우글거리는 무좀 환자의 피부껍질·살비듬, 발톱 부스러기 등이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조심하는 게 좋다. 가족 중 무좀 환자가 있으면 발수건과 실내화 등을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치료가 끝났어도 신던 신발·양말 등에 곰팡이균이 남아 있으면 재발할 수 있으므로 항진균제 분말을 이용해 세척하거나 버리는 게 좋다.

혈액순환이 잘 안 되는 당뇨병·말초혈액질환자, 면역력이 떨어진 노인 등은 손발톱 무좀에 걸리면 잘 낫지 않고 골수염·피부괴사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당뇨 환자의 경우 발톱 무좀으로 주변에 상처가 생기면 발이 썩어들어갈 수 있는 만큼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