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보수 야당 文정부 외교성과 이례적 호평 이유는

한미일 대북 공조압박 메시지에 점수

한국당 "대통령 외교활동 땐 비판 자제" 洪대표 의중도

'문준용 의혹 조작' 놓고 민주당과 대치 중인

국민의당은 "포토제닉용 외교 난맥" 평가절하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안보관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온 보수 야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한국 정부의 외교 성과를 이례적으로 호평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문재인 정부가 한·미·일 공조를 통한 대북 압박의 메시지를 명확히 밝힌 점을 높이 평가했다.

강효상 한국당 대변인은 지난 8일 국회 브리핑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한미일 3국이 공동성명을 발표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올바른 방향”이라며 “정부가 국가 안보와 국익의 편에 선 것을 환영하고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미일 정상의 공동성명은 1994년 정상회동 시작 이후 처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특히 ‘3국 안보 협력’이라는 용어를 쓰며 공조체제를 굳건히 한 것은 세 나라 관계가 한 단계 진일보한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한국당의 이 같은 호평에는 3국 공동성명을 이끌어 낸 외교적 성과뿐 아니라 “대통령이 외교 활동을 하는 동안 청와대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겠다”고 밝힌 홍준표 대표의 의중도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이종철 바른정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3국 정상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굳건한 공조를 바탕으로 중국·러시아와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며 “북핵을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는 한편 3국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한 점은 잘한 일”이라고 추어올렸다.

반면 ‘문준용 의혹제보 조작’ 사건을 놓고 집권여당과 힘 겨루기를 하고 있는 국민의당은 이번 G20 정상회담의 성과를 평가절했다. 김유정 대변인은 “외교 난맥을 그대로 보여준 빈약한 성과”라며 “신(新) 베를린 선언에서 보여준 남북대화 의지는 한·미·일 정상회담 성명으로 이어졌지만 결국 중요한 북한의 호응은 기대난망이다. 한중·한일 정상회담은 현안에 대한 어떤 접점도 찾지 못한 ‘포토제닉’용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